SK스퀘어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SK스퀘어(402340)는 202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주요 투자사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투자와 운영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SK스퀘어는 IT, 통신, 반도체, 디지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자회사와 지분투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로는 SK하이닉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등이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SK하이닉스: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Flash)와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합니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IT 기기와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SK스퀘어는 SK하이닉스의 주요 주주로서, 반도체 사업을 통해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11번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로,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며, 마케팅비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11번가는 지속적인 사용자 증가와 함께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e커머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티맵모빌리티: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업체로, 티맵(Tmap) 내비게이션, 택시 호출 서비스, 화물중개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티맵모빌리티는 지속적인 사용자 증가와 함께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티맵 내비게이션은 높은 사용자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택시 호출 서비스와 화물중개 서비스의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원스토어: 앱 마켓 플랫폼으로, 국내 및 중국 대작 게임을 유치하며 매출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원스토어는 국내 앱 마켓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원스토어는 지속적인 게임 콘텐츠 확보와 사용자 증가를 통해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SK스퀘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자회사와 지분투자를 보유하고 있어, 각 산업의 성장과 변동성에 따라 실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도체, 디지털 서비스, 모빌리티 등의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 2022 | 2023 | 2024E | 2025E | 2026E |
---|---|---|---|---|---|
매출액 (십억원) | 2,371 | 2,277 | 2,188 | 2,355 | 2,501 |
영업이익 (십억원) | -349 | -2,340 | 2,244 | 3,543 | 3,579 |
순이익 (십억원) | 256 | -1,315 | 1,623 | 2,690 | 2,770 |
EPS (원) | 1,836 | -9,137 | 11,701 | 19,539 | 20,124 |
BPS (원) | 118,972 | 112,264 | 125,938 | 145,686 | 166,024 |
PER (배) | 24.8 | -4.7 | 7.3 | 4.4 | 4.2 |
PBR (배) | 0.4 | 0.4 | 0.7 | 0.6 | 0.5 |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SK스퀘어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100,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SK하이닉스 지분가치 상승과 크래프톤 매각 등을 반영한 기업가치 상승에 따른 것입니다. 목표주가는 적정 기업가치 14.0조원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투자 포인트:
- SK하이닉스 지분가치 상승: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과 반도체 시장 성장에 따른 지분가치 상승이 SK스퀘어의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크래프톤 매각: 2023년 4월 크래프톤 지분 전량 매각으로 2,625억원의 자금을 확보하여 추가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SK스퀘어는 이 자금을 활용하여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주주 가치를 제고할 계획입니다.
- 주주환원 정책: SK스퀘어는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입니다. 2023년 이후 총 4,1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경상 배당수입의 30% 이상을 주주환원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주주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 디지털 서비스 및 모빌리티 사업 성장: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등 자회사의 성장세가 지속되며, SK스퀘어의 실적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11번가는 온라인 쇼핑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티맵모빌리티는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에서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원스토어는 글로벌 앱 마켓 시장에서의 성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6. 위험 요소
매출 변동성: SK스퀘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어, 각 산업의 경기 변동에 따라 실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디지털 서비스, 모빌리티 등 주요 사업 부문의 변동성이 중요합니다. 반도체 시장의 수요 변동, 디지털 서비스 시장의 경쟁 심화, 모빌리티 시장의 규제 변화 등이 매출 변동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술 및 트렌드 변화: 디지털 서비스와 모빌리티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K스퀘어는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예상보다 빠른 기술 변화에 뒤처질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기술의 빠른 진화와 디지털 서비스 시장에서의 새로운 기술 도입이 SK스퀘어의 경쟁력을 시험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SK스퀘어의 매출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의 이슈가 발생할 경우, 매출 감소의 위험이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른 수요 변동성은 SK스퀘어의 재무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결론
SK스퀘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회사와 지분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SK하이닉스의 지분가치 상승과 디지털 서비스 및 모빌리티 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집니다. 목표주가는 100,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다만, 매출 변동성, 기술 및 트렌드 변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SK스퀘어는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