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두산(000150)은 1896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기업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두산의 주요 사업 부문은 전자BG, 디지털이노베이션, 두타몰, FCP,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 등으로 나뉩니다. 두산은 초기에는 섬유와 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현재는 에너지, 전자, 로봇 등 첨단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두산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전자BG: 전자부품 생산사업으로 주로 동박적층판(CCL)을 생산합니다. CCL은 전자제품의 회로기판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로, 반도체 및 통신 장비에 필수적입니다. 최근 N사향 네트워크보드용 CCL 납품을 통해 매출 증대가 예상됩니다. 특히, 2024년 하반기부터 N사에 AI서버향 CCL을 단독 납품할 예정이며, 이는 두산의 전자BG사업부문 매출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디지털이노베이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기술 및 인프라를 제공하며, 전문인력 양성 등을 수행하는 조직입니다. 이 부문은 두산의 내부 프로세스 개선뿐만 아니라 외부 고객에게도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두타몰: 소매업으로, 두타몰을 운영하며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판매합니다. 두타몰은 국내외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쇼핑몰로,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FCP: 다양한 화학제품을 생산 및 공급합니다. FCP는 고기능성 화학제품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풍력, 화력 등 에너지 관련 설비를 제작하고, 최근 미국에서 대규모 SMR(소형모듈원자로) 수주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로, 증기발생기튜브 등의 주요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며, 이는 두산의 매출과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두산밥캣: 건설기계 및 농업기계를 생산하며, 특히 소형 건설기계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두산밥캣은 전 세계적으로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두산로보틱스: 로봇 기술을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용 로봇을 공급합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제조업, 물류,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두산은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활동하며 각 사업 부문마다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두산에너빌리티는 신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부문에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두산밥캣은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에서 강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두산로보틱스는 로봇 기술 개발을 통해 신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매출액 (십억원) | 16,996 | 19,130 | 18,719 | 19,861 | 20,913 |
영업이익 (십억원) | 1,126 | 1,436 | 1,425 | 1,502 | 1,592 |
세전순이익 (십억원) | -286 | 451 | 601 | 759 | 897 |
총당기순이익 (십억원) | -581 | 272 | 363 | 458 | 541 |
지배지분순이익 (십억원) | -696 | -388 | 112 | 142 | 168 |
EPS (원) | -32,522 | -18,133 | 5,251 | 6,629 | 7,832 |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두산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250,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하반기 N사향 네트워크보드용 CCL 납품이 본격화됨에 따라 전자BG사업부문의 가치 상승을 반영한 것입니다. 두산의 전자BG사업부문의 가치는 12M Forward EBITDA에 Target Multiple 11배를 적용하여 약 1.8조원으로 추정됩니다.
투자 포인트:
- 전자BG 사업부문 성장: 2024년 하반기 N사향 네트워크보드용 CCL 납품 본격화로 전자BG사업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N사의 AI서버향 CCL을 단독 납품함으로써 외형 확대 및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두산에너빌리티의 SMR 수주: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최대 SMR 설계업체인 뉴스케일파워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원자로 및 증기발생기튜브를 납품할 예정입니다. 이는 두산의 매출 및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SMR 시장의 개화와 함께 두산의 수익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두산밥캣의 지속적인 성장: 두산밥캣은 글로벌 소형 건설기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꾸준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북미 시장에서의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두산은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활동하며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두산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장기적인 성장에 기여할 것입니다.
6. 위험 요소
매출 변동성: 두산은 다양한 산업에 진출해 있어 각 산업의 경기 변동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주요 자회사의 실적에 따라 두산의 전체 실적이 크게 좌우될 수 있습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두산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각 사업 부문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두산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을 확대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의 이슈가 발생할 경우, 매출 감소의 위험이 있습니다.
기술 및 트렌드 변화: 특히, 전자BG 사업부문과 두산로보틱스는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산업입니다. 두산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혁신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있지만, 기술 변화에 뒤처질 경우 경쟁력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7. 결론
두산은 다양한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전자BG 사업부문과 두산에너빌리티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2024년 하반기와 2025년 매출 및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목표주가는 250,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다만, 매출 변동성,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기술 및 트렌드 변화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두산은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