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에너지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대명에너지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디벨로퍼로, 풍력 및 태양광 발전 단지의 개발, 건설,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1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풍력 발전 단지 조성에 참여하여 현재 8개 278.8MW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단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풍력발전 설비 용량 기준으로 3위, 민간사업자 중 1위 사업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풍력발전 사업: 김천풍력발전으로부터 780억원 규모의 공사도급계약을 수주했으며, 이는 2024년 실적에 반영될 예정입니다. 현재 운영 중인 발전단지로는 풍력 184.7MW, 태양광 94.1MW 등 총 278.8MW의 발전단지가 있습니다. 개발 중인 프로젝트로는 1,548.8M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지가 있으며, 이 중 해상풍력 1,200MW, 육상풍력 348.8MW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대명에너지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수혜를 받고 있으며, 국내 풍력 시장 성장과 함께 발전사업이 빠르게 건설 단계로 전환될 경우 회사의 가치가 한 단계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F |
---|---|---|---|---|---|
매출액 (억원) | 1,662 | 1,361 | 880 | 616 | 762 |
영업이익 (억원) | 412 | 469 | 256 | 167 | 209 |
영업이익률 (%) | 24.8 | 34.5 | 29.1 | 27.2 | 27.4 |
순이익 (억원) | 310 | 237 | 261 | 61 | 126 |
EPS (원) | 2,066 | 1,583 | 1,604 | 360 | 738 |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투자의견은 '매수'로 제시되었으며, 목표주가는 25,000원입니다. 이는 2024년 예상 EPS에 업사이클 평균 P/E 17.3배를 적용하여 산출된 것입니다.
6. 위험 요소
정책 리스크: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인허가 절차의 변경이나 정책 지원의 축소 등이 주요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원자재 가격의 변동이 프로젝트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결론
대명에너지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2024년과 2025년 매출 및 영업이익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되며, 목표주가는 28,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다만, 정책 변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리스크는 존재합니다.
본 보고서는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외부의 압력이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았습니다. 보고서 내용은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또한 현재 보고서는 AI로 작성되어 수치에 오차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