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제지 목표주가 15,800원 리서치 보고서

 


한솔제지 주가 보고서

한솔제지 주가 보고서

1. 회사 개요

한솔제지(213500)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제지기업으로, 인쇄용지, 산업용지(백판지), 특수지(감열지 및 라벨지) 등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주주는 한솔홀딩스 외 2인(30.57%)과 국민연금공단(5.52%)입니다. 2024년 6월 27일 기준, 주가는 11,210원이며, 시가총액은 2,668억 원입니다.

2. 재무 정보

년도 매출액 (십억 원) 영업 이익 (십억 원) 순이익 (십억 원) EPS (원) PER (배) PBR (배) EV/EBITDA (배) ROE (%)
2022 2,458 130 74 3,102 4.3 0.4 5.5 10.4
2023 2,194 47 2 74 144.0 0.3 7.6 0.2
2024E 2,207 103 68 2,837 4.0 0.3 4.9 9.0
2025E 2,258 117 96 4,019 2.8 0.3 4.1 11.7
2026E 2,307 126 103 4,332 2.6 0.3 3.4 11.4

3. 2024년 실적 전망

2024년 한솔제지의 예상 매출액은 2,207억 원, 영업이익은 103억 원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0.6% 증가, 영업이익 117.2% 증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성장 동력은 펄프 가격의 안정화와 제품 포트폴리오의 다변화입니다.

4. 2분기 실적 전망

2024년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551억 원, 영업이익 25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1% 증가, 영업이익 40% 증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요인은 펄프 가격 안정화와 인쇄용지 및 산업용지 수요 증가입니다.

5. 하반기 실적 전망

하반기에는 산업용지와 특수지 부문의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 확대가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6. 시장 분석

한솔제지는 국내 최대의 제지기업으로, 인쇄용지, 산업용지, 특수지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은 펄프 가격 인상과 수출 증가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안정적인 수요와 가격 인상으로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산업용지와 특수지 부문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7. Valuation

한솔제지의 목표주가는 15,000원으로 유지되었으며, 이는 2024E EPS에 목표배수 5.3배를 적용한 것입니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올해 예상 실적 기준 PER 4.0배, PBR 0.3배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과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고려하면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8. 성장 전망

한솔제지는 펄프 가격 안정화와 제품 포트폴리오의 다변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인쇄용지와 산업용지 부문에서의 수익성 개선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9. 리스크 분석

주요 리스크로는 펄프 가격 변동성, 수요 감소, 경쟁 심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0. 주요 제품

한솔제지의 주요 제품은 인쇄용지, 산업용지, 특수지(감열지 및 라벨지)입니다. 인쇄용지는 교과서, 캘린더 등에 사용되며, 산업용지는 가공식품, 생활용품, 의약품 포장 등에 사용됩니다. 특수지는 카드 영수증 및 택배용 라벨에 사용됩니다.

11. 연혁

한솔제지는 1961년 설립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국내 최대의 제지기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961: 한솔제지 설립
  • 2011: 특수지 사업 진출
  • 2024: 펄프 가격 안정화 및 수출 확대

12.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목표주가는 15,800원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 2024F 2025F
PER 4.0 2.8
PBR 0.3 0.3
ROE 9.0% 11.7%

13. 종합 평가 및 주가 전망

한솔제지는 펄프 가격 안정화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목표주가는 15,800원으로 유지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2024F 기준 PER 4.0배, PBR 0.3배 수준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과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고려하면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