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바이오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에이프릴바이오(397030)는 SAFA 플랫폼 기반의 혁신적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기업으로,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APB-R3의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에이프릴바이오의 최근 5년간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매출액 (십억원) | 영업이익 (십억원) | 순이익 (십억원) | EPS (원) | PER (배) | PBR (배) | ROE (%) | EV/EBITDA (배) |
---|---|---|---|---|---|---|---|---|
2021 | 23 | 4 | -53 | -2,871 | n/a | n/a | n/a | -11.0 |
2022 | 0 | -11 | -9 | -424 | -20.7 | 1.3 | -14.2 | -10.7 |
2023 | 0 | -14 | -11 | -499 | -27.2 | 2.4 | -16.6 | -6.5 |
2024F | 33 | 21 | 20 | 904 | 21.5 | 5.4 | 28.9 | 11.7 |
2025F | 41 | 28 | 26 | 1,198 | 16.2 | 4.1 | 28.7 | 5.3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에이프릴바이오의 2024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932억원(QoQ +10.7%, YoY +6.5%), 영업이익 484억원(QoQ +1.1%, YoY -10.8%)으로 컨센서스 대비 +9% 상회하는 호실적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제선 항공 노선의 증가로 국내 인바운드 유의미한 증가세를 보이며, 일본 골든위크와 중국 노동절 연휴 효과로 2분기 홀드율은 12.7%로 전분기 대비 +1.4%p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드랍액은 1.78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2.9%, 전년 대비 +13%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분기 중국 VIP 방문객 수는 전년도 대비 +47% 성장한 0.8만명으로 예상되지만, 중국 노동절 연휴를 감안하면 중국 VIP 회복세는 더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 VIP 방문객 수는 YoY +19% 증가한 2.1만명, 기타 VIP 방문객 수는 YoY +14% 증가한 1.2만명으로 예상됩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일본 VIP 및 신규시장에 대한 마케팅을 지속 확대한 결과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2024년 2분기에도 ‘인스파이어’의 개장으로 인한 경쟁 심화가 없고 파라다이스 시티 방문객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중국 VIP 회복 및 코스피 이전 상장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4. 경쟁사 비교
에이프릴바이오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경쟁사:
- 셀트리온: 국내 바이오 의약품 제조 업체
- 삼성바이오로직스: 국내 바이오 의약품 제조 업체
해외 경쟁사:
- Amgen: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제조 업체
- Roche: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제조 업체
5. 성장 전망
에이프릴바이오의 2024년 매출액은 1조 1,540억원, 영업이익은 1,800억원, 순이익은 1,190억원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드랍액 및 홀드율 상승, 일본 및 신규시장 VIP 성장세가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매출액은 1조 2,170억원, 영업이익은 2,060억원, 순이익은 1,480억원으로 전망되며, 2026년에는 매출액 1조 2,820억원, 영업이익 2,280억원, 순이익 1,67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코스피 이전 상장 및 KOSPI200 편입에 따른 수급 개선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6. 리스크 분석
에이프릴바이오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시장 리스크: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산업 관련 규제 변화 및 매크로 환경 변화
- 재무적 리스크: 높은 차입금과 이자 비용 증가 가능성
- 운영 리스크: 신규사업 실패 및 기존 사업장 운영 리스크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회사는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 유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에이프릴바이오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APB-A1: CD40L antagonist 기반 바이오 의약품
- APB-R3: IL-18BP 융합단백질 기반 바이오 의약품
8. 연혁
에이프릴바이오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3년: 에이프릴바이오 설립
- 2021년: APB-A1 기술 이전 계약 체결
- 2024년: APB-R3 기술 이전 계약 체결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에이프릴바이오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21: 33,000원
현재 에이프릴바이오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33,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항목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EPS(원) | -424 | -499 | 904 | 1,198 | n/a |
PER(배) | -20.7 | -27.2 | 21.5 | 16.2 | n/a |
PBR(배) | 1.3 | 2.4 | 5.4 | 4.1 | n/a |
ROE(%) | -14.2 | -16.6 | 28.9 | 28.7 | n/a |
배당수익률(%) | 0.0 | 0.0 | 0.0 | 0.0 | 0.0 |
주요 재무제표
구분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매출액 (십억원) | 0 | 0 | 33 | 41 | n/a |
영업이익 (십억원) | -11 | -14 | 21 | 28 | n/a |
순이익 (십억원) | -9 | -11 | 20 | 26 | n/a |
자산총계 (십억원) | 71 | 80 | 218 | 336 | n/a |
부채총계 (십억원) | 2 | 20 | 25 | 26 | n/a |
자본총계 (십억원) | 69 | 60 | 77 | 103 | n/a |
10. 종합 평가
에이프릴바이오는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산업에서의 강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이 기대됩니다. 2024년 예상 매출액은 1조 1,540억원, 영업이익은 1,800억원, 순이익은 1,19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글로벌 시장 확대로 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