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제약 목표주가 7300원 리서치 보고서


기업 분석 보고서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진양제약(007370)은 우수한 제제 및 복합제 소형화 기술을 보유한 의약품 전문 기업입니다. 1978년 6월 7일 설립되었으며, 2000년 7월 27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사업은 제네릭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입니다.

2. 재무 정보

년도 매출액 (억 원) 영업이익 (억 원) 순이익 (억 원) ROE (%) ROA (%) 부채비율 (%) EPS (원) BPS (원) PER (배) PBR (배)
2021 628 70 95 16.8 11.2 50.8 795 5,844 8.9 1.2
2022 763 111 123 17.2 11.6 47.5 1,026 7,199 6.4 0.9
2023 941 91 127 15.1 10.8 33.8 1,055 8,301 5.9 0.8

3. 2024년 실적 전망

2024년 진양제약의 예상 매출액은 1,250억 원, 영업이익은 100억 원, 순이익은 150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25.3% 증가, 영업이익 9.9% 증가를 의미합니다.

4. 2분기 실적 전망

2024년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320억 원, 영업이익 25억 원, 순이익 40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15.7% 증가, 영업이익 12.0% 증가, 순이익 18.3% 증가를 의미합니다.

5. 하반기 실적 전망

하반기에는 신규 제품 출시와 매출 성장이 예상됩니다. 주요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수주 상황을 고려하면 하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6. 시장 분석

진양제약은 제네릭 의약품과 개량신약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약 시장은 고령인구의 증가와 중증 및 난치성·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인해 성장하고 있으며, 항암제, 면역치료제, 비만치료제 등이 성장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완제의약품 생산액은 2022년 25조 5,712억 원으로 전년대비 13.9% 증가했으며,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2022년 1조 4,820억 달러에서 2027년 1조 9,17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7. Valuation

진양제약의 목표주가는 7,3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예상 EPS에 목표배수 8.0배를 적용한 것입니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올해 예상 실적 기준 PER 5.9배, PBR 0.8배입니다.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 회복과 신규 사업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8. 성장 전망 및 투자 포인트

진양제약은 제네릭 의약품과 개량신약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당뇨병 치료제 파이프라인 강화와 신규 제품 출시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투자 포인트:

  • 제네릭 의약품과 개량신약 개발
  •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의약품 시장 성장
  • 당뇨병 치료제 파이프라인 강화
  • 신규 제품 출시

9. 리스크 분석

주요 리스크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원재료 가격 변동성, 경쟁 심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0. 주요 제품

진양제약의 주요 제품은 순환기 의약품, 소화기 의약품, 당뇨병 치료제 등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크리빅스, 에스졸정, 다파그린지정 등이 있습니다.

11. 연혁

진양제약은 1971년 설립된 이후, 2000년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971: 진양약품공업사 설립
  • 1978: 진양제약(주)로 법인전환
  • 2000: 코스닥 시장 상장
  • 2023: 당뇨병 치료제 다파그린지정 출시

12.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목표주가는 7,300원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 2024F
PER 5.9
PBR 0.8
ROE 15.1%

13. 종합 평가 및 주가 전망

진양제약은 제네릭 의약품과 개량신약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당뇨병 치료제 파이프라인 강화와 신규 제품 출시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목표주가는 7,3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2024년 예상 실적 기준 PER 5.9배, PBR 0.8배 수준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과 시장 확장을 고려하면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