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파워플라즈마 목표주가 1만2천원 앞으로가 기대되는 반도체 방산 도우인시스


뉴파워프라즈마 기업 분석 보고서

뉴파워프라즈마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뉴파워프라즈마(144960/KQ)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 박막 공정 이후 챔버에 잔존하는 부산물 클리닝을 위한 장비용 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한국화이바와 도우인시스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우주방산 및 복합 소재 사업, UTG(초박막 강화유리) 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4년 예상 매출 비중은 장비용 부품 32%, 방산 등 42%, UTG 25%입니다. 뉴파워프라즈마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해외 매출 비중은 2021년 33%에서 2023년 56%로 증가했습니다.

2. 재무 정보

영업실적 및 투자지표

구분 단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매출액 십억원 73 60 109 310 353 351
영업이익 십억원 12 4 11 24 14 16
순이익(지배주주) 십억원 13 5 42 23 26 19
EPS(계속사업) 322 133 997 531 585 441
PER 7.4 31.9 6.6 12.1 6.1 11.9
PBR 2.1 3.8 3.1 2.8 1.6 2.4
EV/EBITDA 2.7 9.3 13.8 6.0 8.3 8.4
ROE % 10.6 4.2 26.2 12.0 11.8 8.2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뉴파워프라즈마는 반도체 장비용 부품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의 교체 주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반도체 신규 투자의 재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2024년 별도 기준 매출액은 1,500억원(+28% YoY), 영업이익은 225억원(+23%)을 예상합니다.

중국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 분쟁에도 불구하고 부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교체 주기가 2년임을 감안할 때, 2024년에는 많은 부품의 교체가 예상됩니다. 또한, 반도체 장비용 부품의 특성상 신규 투자 재개 여부가 실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4. 경쟁사 비교

뉴파워프라즈마의 주요 경쟁사로는 고영, 뷰웍스, 코윈테크, LG이노텍, 비에이치 등이 있습니다. 이들 경쟁사와 비교하여 뉴파워프라즈마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장비용 부품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방산 및 UTG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성장 전망

뉴파워프라즈마의 성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주요 성장 동력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있습니다:

1) 반도체 장비용 부품의 교체 주기 도래

반도체 장비용 부품의 교체 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2024년에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교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신규 투자 재개 기대

반도체 산업의 신규 투자가 재개되면, 뉴파워프라즈마의 장비용 부품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선단 공정 전환으로 인해 메모리 CAPA가 자연 축소됨에 따라 신규 투자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3) 도우인시스 연결 효과

도우인시스는 2024년 1분기부터 연결 실적으로 편입되었으며, 주요 고객사의 해외향 폴더블 패널 확판으로 인해 2024년에도 실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4) 안정적인 한국화이바

한국화이바는 우주방산 및 복합 소재 관련 사업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의 해외 수주 증가로 인해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6. 리스크 분석

뉴파워프라즈마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해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리스크: 반도체 장비 부품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환율 리스크: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는 뉴파워프라즈마는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화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 기술 변화 리스크: 반도체 장비 부품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적응해야 합니다.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기존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 고객사 다변화 리스크: 특정 고객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경우, 해당 고객사의 경영상황 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뉴파워프라즈마는 고객사 다변화, 기술 혁신,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뉴파워프라즈마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반도체 장비용 부품: RPS (불소 계열을 챔버 외부에서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분해해 플라즈마 Radical을 챔버 내 부산물과 결합시켜 배기시키는 박막 공정용 장비 부품)
  • 디스플레이 장비용 부품: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공급합니다.
  • 태양광 장비용 부품: 태양광 패널 제조 공정에서 필요한 부품을 제공합니다.
  • 방산 및 철도차량 복합 소재: 한국화이바에서 우주방산 및 철도차량용 복합 소재를 제조 및 공급합니다.
  • UTG (초박막 강화유리): 도우인시스에서 제조하는 UTG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됩니다.

8. 연혁

뉴파워프라즈마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8년: 매출액 73억원, 영업이익 12억원
  • 2019년: 매출액 60억원, 영업이익 4억원
  • 2020년: 매출액 109억원, 영업이익 11억원
  • 2021년: 매출액 310억원, 영업이익 24억원
  • 2022년: 매출액 353억원, 영업이익 14억원
  • 2023년: 매출액 351억원, 영업이익 16억원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뉴파워프라즈마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05: 목표주가 설정 없음, 현재 주가 6,500원

뉴파워프라즈마의 현재 주가는 6,500원으로, 목표주가는 1만2000원입니다.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과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고려할 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0. 종목 차트 및 분석

뉴파워프라즈마의 주가는 최근 몇 년간 변동성이 컸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전반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가는 변동성이 있었습니다.

뉴파워프라즈마의 주가는 2024년 6월 5일 기준으로 6,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주요 지표로는 PER 11.9배, PBR 2.4배, ROE 8.2% 등이 있으며, 이는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잠재력을 반영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