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갈륨 및 게르마늄 수출규제로 반도체 흔들리나
[투데이 뉴스 김명신 기자] 중국이 8월부터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규제를 적용하기 시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정부는 갈륨 비축을 확대하고 이로 인한 공급 차질 대응을 위해 관련 부서와 긴급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위사업청 등과 협력하여 중국의 광물 수출 규제에 대한 대책을 조속히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3일부터 수출 시 승인이 필요한 갈륨과 게르마늄 관련 품목을 발표했다. 갈륨은 주로 미래 반도체, 게르마늄은 반도체 공정용 가스 생산에 사용된다.
산업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주요 업종별 점검을 통해 갈륨과 게르마늄의 국내 보유, 수급,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점검 결과, 이러한 물질들은 국내 주요 산업 생산에 크게 활용되지 않고 있으며 국내 영향은 제한적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산업부는 중국 수출 통제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갈륨 비축량 확대와 선제적 대응 방안 준비에 힘쓰고 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갈륨은 현재 40일분이 비축되어 있으며 산업부는 기재부와 협의를 통해 비축량을 더 확대하고 있다. 게르마늄은 비축되지 않지만 국내 수급 상황도 계속 모니터링 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광해광업공단 관계자는 "국내 수요가 매우 적고 미국에서 수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게르마늄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국의 수출 규제가 시행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있다"며 "공급망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국 수출 규제에 대비하여 정책적으로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1️⃣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중국 수출규제 대응책 발표 예정
2️⃣ 갈륨은 미래 반도체에, 게르마늄은 반도체 공정용 가스 생산에 사용
3️⃣ 갈륨과 게르마늄 국내 활용량 작아, 국내 영향 제한적으로 전망
4️⃣ 산업부, 갈륨 비축 확대 검토 중, 게르마늄은 비축하지 않고 수급 상황 모니터링 예정
<Copyright ⓒ 투데이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