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형펀드•ETF 5조원 가까이 이탈 어디로 갔는가?

주식형 펀드 ETF 5조원 가까이 이탈 어디로 갔는가?


[투데이 뉴스 김명신 기자] 이번 해 초부터 지난 4일까지 해외 주식형 상장 지수 펀드(ETF)에 대한 자금의 순유출은 총 4907억원에 이르렀다고 한국펀드평가가 발표했다. 상품별로는 'TIGER 미국 나스닥100'의 2782억원과 'TIGER S&P500선물'의 2105억원 등이 벌어졌다. 'KODEX 나스닥100 선물'과 'ACE 미국 나스닥100'에서도 각각 1491억원과 517억원이 빠져나간 상황이다. 이러한 ETF 상품들은 코로나19 이후 장기투자자들이 돈을 버는 상품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올해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자금 유출은 이례적으로 여겨진다.


한편, 국내 주식형 ETF에서도 1조 8916억원이 유출됐으며, 'TIGER MSCI KOREA TR'(9428억원)과 'KODEX 200TR'(2979억원) 등 국내 증시 브로드 마켓에 투자한 상품에서도 순유출이 확인되었다.


주가 상승률이 높은 2차전지 관련 일부 ETF 영역에서도 자금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이에는 'TIGER 2차 전지테마'(-7890억원)와 'TIGER KRX 2차전지 K-뉴딜'(-1875억원) 등이 포함되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와 같이 변동성이 낮은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에코프로 같은 소재업체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ETF들이 2차 전지 테마 주변에서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국내주식형 펀드와 미국주식형 펀드 역시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올 초부터 순차적으로 1조2300억원과 1조3047억원이 이러한 펀드에서 빠져나갔다. 시장에서 장기간 플러스 수익률을 창출하며 인기를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금융 상품들 역시 '신영밸류 고파 추격'(-814억원), '베어링 고파 추격 플러스'(-316억원), '한국밸류 10년 투자'(-194억원) 등에 이어 순차적으로 투자자금의 순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해외주식형 펀드 '한국투자 미국배당귀족(H)'(-1622억원)과 '피델리티글로벌배당 인컴'(-715억원) 역시 인기가 없는 상황이다.

1. 한국펀드평가 발표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지난 4일까지 해외 주식형 상장 지수 펀드(ETF)에서 총 4907억원이 순유출됐다.

2. TIGER 미국 나스닥100과 TIGER S&P500선물 등에 벌어진 유출로 인한 이례적 현상이 눈에 띈다.

3. 국내 주식형 ETF에서도 1조 8916억원 유출이 발생했으며,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2차전지 관련 일부 ETF 영역에서도 유출이 확인되었다.


📉 국내주식형 펀드와 미국주식형 펀드 인기 하락

1. 올 초부터 차례로 1조2300억원과 1조3047억원이 국내주식형 펀드와 미국주식형 펀드에서 빠져나갔다.

2. 금융 상품 중 장기간 플러스 수익률을 창출하며 인기를 유지해온 신영밸류 고파 추격 등에서 투자자금의 순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투데이뉴스 김명신 기자

<Copyright ⓒ 투데이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