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위기, 미국 영향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
[투데이 뉴스 김명신 기자]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는 중국 경제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사하다고 분석했지만, 이번에는 미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폴 크루그먼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다.
그는 중국의 위기가 물가상승을 겪고 있는 미국에는 오히려 긍정적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중국의 디플레이션은 전 세계로 수출되어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칼럼을 통해 크루그먼 교수는 "중국이 2008년과 같은 위기를 겪는다면, 세계가 충격을 받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명확한 대답은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이 중국 위기에 노출될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전망했다.
미국의 대중 직접 투자액은 2150억 달러로(약 287조원) 미국 경제 규모에 비해 매우 작다. 또한, 지난해 미국의 대중수출은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1%도 안 되는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은 중국의 위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크루그먼 교수는 중국의 침체로 인해 원유 등 원자재 수요가 줄어들 경우, 이는 국제상품가격을 내려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중국은 구제금융과 채무조정을 통해 부채 부담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회주의 국가로 인해 비효율적인 의사 결정으로 인해 위기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1. 중국 경제 위기가 물가상승을 겪고 있는 미국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
2. 미국이 중국 위기에 노출될 가능성은 매우 적다.
3. 미국의 대중 직접 투자액은 미국 경제 규모에 비해 매우 작고, 대중수출도 미미하다.
4. 중국의 침체로 인해 원자재 수요가 줄어들 경우, 이는 국제상품가격을 내려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
5. 중국은 구제금융과 채무조정을 통해 부채 부담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회주의 국가로 인해 비효율적인 의사 결정으로 인해 위기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투데이뉴스 김명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