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CJ(001040)는 식품 및 식품 서비스, 바이오, 물류 및 유통,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사업을 운영하는 대기업입니다. CJ는 1953년에 설립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로는 CJ제일제당, CJ올리브영, CJ ENM, CJ프레시웨이, CJ CGV 등이 있습니다.
CJ의 사업 부문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식품 및 바이오: CJ제일제당을 중심으로 한 식품 및 바이오 사업은 CJ의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합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바이오 제품 등이 있습니다.
- 물류 및 유통: CJ대한통운을 중심으로 한 물류 및 유통 사업은 국내외 물류 서비스와 택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CJ ENM을 중심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사업은 방송, 영화, 음악, 공연 등을 포함합니다.
- 리테일: CJ올리브영을 중심으로 한 리테일 사업은 H&B(Health & Beauty) 스토어를 운영하며, 최근에는 프리미엄 화장품 전문관 'LUXE EDIT' 섹션을 도입하여 고가 화장품 시장에도 진출하였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식품 및 바이오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최근 알리익스프레스의 K-베뉴 입점, 건강관리 열풍에 따른 웰니스 카테고리 매출 호조,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정용 간편식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햇반, 비비고 만두, 가정용 간편식(HMR) 등이 있습니다. 바이오 사업에서는 사료용 아미노산, 조미 소재 등을 생산합니다.
- CJ올리브영: CJ올리브영은 H&B 유통 채널로서 프리미엄 화장품 전문관 'LUXE EDIT' 섹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LG생활건강의 '더후'와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가 입점해 있습니다.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오프라인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체험 특화 매장과 휴대용 번역기 도입 등 외국인 고객 대상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CJ ENM: CJ ENM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티빙의 MAU 증가, 글로벌 OTT와의 콘텐츠 공급 확대, 인기 예능 및 드라마의 포맷 판매 증가 등이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입니다. 주요 콘텐츠로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 영화 '기생충' 등이 있습니다.
- CJ프레시웨이: CJ프레시웨이는 식자재 유통 및 급식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외식 자영업자의 창업·운영 지원, 키즈·시니어·군인 급식 식자재 공급, 이커머스 등으로 수익 기반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 CJ CGV: CJ CGV는 영화관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의 흥행작 증가와 관람객 수 회복으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주요 영화로는 '범죄도시4',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데드풀과 울버린' 등이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CJ는 각 사업 부문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자회사들이 모두 해당 산업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CJ올리브영은 H&B 유통 채널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와 함께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은 식품 및 바이오 사업에서의 강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CJ ENM은 글로벌 OTT와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으며, CJ프레시웨이와 CJ CGV도 각각 식자재 유통 및 영화관 사업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 2022 | 2023 | 2024E | 2025E |
---|---|---|---|---|
매출액 (십억원) | 40,925 | 41,353 | 43,691 | 46,468 |
영업이익 (십억원) | 2,154 | 2,039 | 2,172 | 2,366 |
EBITDA (십억원) | 5,362 | 5,099 | 5,347 | 5,532 |
지배주주순이익 (십억원) | 202 | 195 | 248 | 303 |
EPS (원) | 6,367 | 6,007 | 8,355 | 10,315 |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CJ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216,000원입니다. 이는 2024년 예상 EPS에 업사이클 평균 P/E 17.3배를 적용하여 산출된 것입니다. 현재 주가 141,000원 대비 약 10.6%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CJ의 주요 자회사들이 모두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CJ올리브영의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CJ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며,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투자 포인트:
- CJ올리브영 성장: CJ올리브영은 프리미엄 화장품 전문관 'LUXE EDIT' 섹션을 통해 고가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며, 외국인 관광객 수요 증가로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 CJ제일제당의 실적 개선: 건강관리 열풍과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간편식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알리익스프레스의 K-베뉴 입점 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 CJ ENM의 글로벌 확장: 글로벌 OTT와의 협력 및 콘텐츠 수요 증가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티빙의 MAU 증가로 인해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CJ는 다양한 산업에 걸쳐 사업을 운영하고 있어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있습니다.
6. 위험 요소
매출 변동성: CJ는 다양한 산업에 진출해 있어 각 산업의 경기 변동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주요 자회사의 실적에 따라 CJ의 전체 실적이 크게 좌우될 수 있습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CJ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각 사업 부문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CJ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을 확대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의 이슈가 발생할 경우, 매출 감소의 위험이 있습니다.
기술 및 트렌드 변화: 특히,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산업은 기술 및 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산업입니다. CJ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혁신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있지만, 기술 변화에 뒤처질 경우 경쟁력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7. 결론
CJ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CJ올리브영을 비롯한 주요 자회사들의 호실적이 CJ의 전체 실적을 견인하고 있으며, 2024년과 2025년 매출 및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목표주가는 216,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다만, 매출 변동성,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기술 및 트렌드 변화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CJ는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