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목표주가 60만원 리서치 보고서

 


삼성SDI 리서치 보고서

삼성SDI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삼성SDI(006400)는 1970년에 설립된 삼성 그룹의 계열사로, 2차 전지 및 전자재료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첨단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며,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IT 기기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생산합니다. 또한, 삼성SDI는 OLED, 반도체 등 다양한 전자재료를 공급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해 배터리 및 전자재료 산업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전지사업부: 삼성SDI의 주력 사업 부문으로, 소형 2차 전지, 자동차 전지,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을 생산합니다.
    • 소형 2차 전지: 스마트폰, 노트북, 전동 공구 등 다양한 IT 기기에 사용됩니다. 삼성SDI는 소형 2차 전지 시장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제품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 자동차 전지: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를 생산합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SDI는 고성능, 고안전성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ESS: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의 재생 에너지 저장을 위해 사용되며,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나뉩니다. ESS 시장은 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삼성SDI는 이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전자재료사업부: OLED, 반도체 소재 등을 공급하며, 첨단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OLED: 고성능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를 생산합니다. 삼성SDI는 OLED 소재 기술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주요 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소재: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재료를 공급합니다. 삼성SDI는 반도체 소재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삼성SDI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과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하며, 중국의 CATL, BYD와 같은 업체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IRA법 시행으로 인해 삼성SDI는 미국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유럽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업체들의 성장세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기술 차별화와 차세대 배터리 개발이 중요한 상황입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2023 2024E 2025E 2026E
매출액 (십억원) 22,708 22,590 27,517 30,447
영업이익 (십억원) 1,633 1,651 2,320 2,916
순이익 (십억원) 2,009 1,689 2,455 2,831
EPS (원) 28,547 23,999 34,883 40,222
BPS (원) 263,011 286,678 321,388 361,358
PER (배) 16.5 17.3 11.9 10.3
PBR (배) 1.8 1.4 1.3 1.1
ROE (%) 11.5 8.7 11.5 11.8
배당수익률 (%) 0.2 0.2 0.2 0.2
EV/EBITDA (배) 10.9 8.2 6.5 5.3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삼성SDI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620,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과 2025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P/E 17.3배, 11.9배를 적용한 것입니다. 전자재료 예상 순이익에 P/E 10.0배를 적용한 사업가치 약 2.8조원과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장부가치 4.8조원을 제외한 전지 사업가치도 P/E 약 12.9배 수준입니다.

투자 포인트:

  1. 전지사업부 성장: 삼성SDI는 전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중장기 실적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집니다. 삼성SDI는 고성능, 고안전성 배터리를 개발하여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매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 미국 시장의 유리한 환경: IRA법 시행으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에게 우호적인 영업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는 삼성SDI의 매출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미국 정부의 전기차 및 재생 에너지 지원 정책은 삼성SDI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매출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3.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삼성SDI는 경쟁사들보다 앞서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의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SDI는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4. 높은 밸류에이션 매력도: 2024년과 2025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P/E 17.3배, 11.9배는 동종 업종 내에서 높은 매력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안정적인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6. 위험 요소

매출 변동성: 삼성SDI는 전세계적인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어, 각 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하여, 기술 차별화와 비용 효율성 확보가 중요한 상황입니다. 중국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과 정부 지원 정책은 삼성SDI에게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기술 및 트렌드 변화: 배터리 산업은 기술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상용화가 중요한 이슈입니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기술 개발이 예상보다 지연될 경우 경쟁에서 뒤처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 설비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기술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삼성SDI의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의 이슈가 발생할 경우, 매출 감소의 위험이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른 수요 변동성은 삼성SDI의 재무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결론

삼성SDI는 높은 기술력과 다양한 고객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전지사업부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2024년과 2025년 매출 및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목표주가는 620,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다만, 매출 변동성,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기술 및 트렌드 변화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삼성SDI는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