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목표주가 27,000원 리서치 보고서

 


한화시스템 리서치 보고서

한화시스템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한화시스템(272210)은 방산, ICT, 신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방위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1977년에 설립된 이후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해왔으며, 특히 방산 부문에서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ICT와 신사업 부문에서도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지휘통제 및 전투체계시스템, 레이다 시스템, TICN(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위성통신, 디지털플랫폼 등 신사업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방산 부문: 한화시스템은 K-방산 수출 품목에 적용되는 지휘통제 및 전투체계시스템, 레이다 시스템 등을 생산합니다. TICN 4차 양산이 지속되었으며, 수출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휘통제 시스템은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수출 확대 국면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 ICT 부문: ICT 부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축, 네트워크 솔루션 등을 제공합니다. 계열사 내 사업 비중이 증가하면서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하였고, 신규 수주 가능성도 높습니다. 계열사 내 사업 구조 재편 및 신규 사업장 확대 등이 진행되면서 관련 수혜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 신사업 부문: 한화시스템은 UAM, 위성통신, 디지털플랫폼 등의 신사업 부문에서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OneWeb과 저궤도 위성통신 유통/공급 계약을 체결하였고, 저궤도 위성통신을 군 통신망과 연계하는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또한, 지난해 발사한 소형 SAR 위성의 촬영 영상을 공개하는 등 위성 사업에서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한화시스템은 글로벌 방산 및 ICT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경쟁사로는 록히드 마틴, 레이시온, BAE 시스템즈 등이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기술 혁신과 품질 개선을 통해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방산 부문에서는 K-방산 수출 확대와 그룹사 내 방위산업 역량 집결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ICT 부문에서도 계열사 내 사업 비중 증가와 신규 수주를 통해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2021 2022 2023 2024E 2025E 2026E
매출액 (억원) 20,895 21,880 24,531 26,087 29,223 32,242
영업이익 (억원) 1,120 391 929 1,413 1,784 2,041
순이익 (억원) 983 -766 3,492 1,855 1,691 1,885
EPS (원) 520 -326 1,917 1,019 924 1,019
PER (배) 30.7 -32.4 9.1 17.5 19.3 17.5
PBR (배) 1.3 1.0 1.5 1.5 1.4 1.3
ROE (%) 6.0 -3.6 16.9 8.4 7.2 7.6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한화시스템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제시되었으며, 목표주가는 27,000원입니다. 이는 한화시스템의 실적 개선과 글로벌 수출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투자 포인트:

  1. 수익성 개선: 한화시스템은 전사적인 원가 개선 활동과 컴포넌트 내재화를 통해 영업이익률을 꾸준히 개선해오고 있습니다. 2023년 영업이익률은 3.8%였으며, 2024년에는 5.4%, 2025년에는 6.1%, 2026년에는 6.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통해 한화시스템의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입니다.
  2. 방산 및 ICT 사업 확장: 한화시스템은 방산 부문에서 K-방산 수출 확대와 그룹사 내 방위산업 역량 집결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ICT 부문에서도 계열사 내 사업 비중 증가와 신규 수주를 통해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화시스템은 방산 및 ICT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3. 신사업 부문 성장: 한화시스템은 UAM, 위성통신, 디지털플랫폼 등의 신사업 부문에서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특히, OneWeb과 저궤도 위성통신 유통/공급 계약을 체결하였고, 저궤도 위성통신을 군 통신망과 연계하는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또한, 지난해 발사한 소형 SAR 위성의 촬영 영상을 공개하는 등 위성 사업에서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4. 글로벌 수출 확대: 한화시스템은 영국, 호주, 폴란드 등과의 계약을 통해 수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수출 모멘텀도 살아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통해 실적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상향 조정되는 중이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5. 사업 재편: 한화시스템은 계열사 내 사업 구조 재편 및 신규 사업장 확대 등을 통해 사업을 재편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르고 정교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입니다. 민수 사업 분리를 통해 방산 부문은 더욱 집중된 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며, 민수 사업 역시 독립적인 전략을 통해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기술 혁신: 한화시스템은 최신 기술 도입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산 및 ICT 기술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인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신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위험 요소

매출 변동성: 한화시스템은 주요 고객사의 투자 계획과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매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주요 고객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며,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수주와 진행 상황에 따라 매출이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기술 변화: 방산 및 ICT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한화시스템이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 저하의 위험이 있습니다. 최신 기술 도입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화시스템은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인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신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한화시스템의 매출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율 변동과 같은 외부 요인도 한화시스템의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리스크 관리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7. 결론

한화시스템은 글로벌 방산 및 ICT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고객사 다변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액은 26,087억원, 영업이익은 1,413억원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는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목표주가는 25,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현재 주가 대비 22.3%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다만, 매출 변동성, 기술 변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한화시스템은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