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룡산업 목표주가 20,000원 리서치 보고서

 


제룡산업 주가 분석 보고서

제룡산업 주가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제룡산업은 전력산업용 금구류 제조 전문기업으로, 송배전 금구류 및 합성수지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2011년 11월 제룡전기로부터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2012년 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청북도 옥천군에 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제룡산업의 최근 3년간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매출액 (억원) 영업이익 (억원) 순이익 (억원) EPS (원) PER (배) PBR (배) ROE (%) EV/EBITDA (배)
2021 374.2 68.0 75.4 377 9.8 1.1 11.7 -
2022 593.1 96.1 91.3 456 7.0 0.9 12.9 -
2023 409.0 55.6 72.9 364 9.9 0.9 9.7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제룡산업은 전력산업용 금구류 및 합성수지제품을 제조하며, 주요 전방산업인 전력산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전력산업의 설비 투자 감소로 인해 시장환경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2023년 송배전설비 공사실적이 감소하였으며, 한국전력공사의 적자 지속과 설비 투자 감소로 인해 전력 인프라 구축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국내 송배전설비 및 철도전기설비 공사실적은 2022년 4조 6,703억 원에서 2026년 5조 1,118억 원으로 연평균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전력기자재 수요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전기 애자 및 절연용 물품 출하금액은 2022년 1,126억 원에서 2027년 1,088억 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사는 다양한 전력기자재를 설계부터 생산까지 자체적으로 수행하며 기술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시장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제품과 HVDC용 금구류를 개발하여 사업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는 연구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 경쟁사 비교

제룡산업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경쟁사:

  • 세명전기: 전력기자재 및 섬유직기용 섹셔날빔 제조
  • 보성파워텍: 송배전 자재, 철구조물 등 전력기자재 제조

제룡산업은 다양한 전력기자재를 설계부터 생산까지 자체적으로 수행하며 기술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5. 성장 전망

제룡산업은 2023년 매출액 409.0억 원, 영업이익 55.6억 원, 순이익 72.9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4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0% 감소한 61.1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전방산업의 설비 투자 회복과 함께 장기적인 인프라 증설 계획이 집행되면서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동사는 HVDC 기술 발전과 도입 확대에 따라 HVDC 송전선로에 적용 가능한 금구류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기술을 확보하고 제품의 표준화를 수행하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6. 리스크 분석

제룡산업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시장 리스크: 전력산업의 설비 투자 감소 및 건설경기 악화
  • 재무적 리스크: 매출 감소 및 고정비용 부담 증가
  • 기술적 리스크: 신제품 개발 지연 및 기술적 문제 발생 가능성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동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효율적인 비용 관리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제룡산업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금구류: 송배전 금구류, 철도 전차선 금구류, 통신기자재
  • 합성수지제품: 가공 및 지중배선 수지제품

동사는 다양한 제품 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제품과 HVDC용 금구류 개발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8. 연혁

제룡산업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1년 11월: 동사 설립
  • 2011년 12월: ISO 9001/14001 인증 취득
  • 2012년 2월: 코스닥 시장 상장
  • 2015년 11월: 이노비즈 인증 취득
  • 2018년 9월: 우수재활용제품(GR) 인증 취득
  • 2018년 10월: 성능인증 취득
  • 2022년 6월: KS 인증 취득
  • 2022년 12월: ISO 45001 인증 취득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현재 제룡산업에 대한 투자의견 BUY입니다. 목표주가:20,000원 입니다.

시가총액은 1,794억 원(2024년 6월 21일 장 거래기준)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2021 2022 2023 2024 1분기
매출액 (억원) 374.2 593.1 409.0 61.1
영업이익 (억원) 68.0 96.1 55.6 5.5
순이익 (억원) 75.4 91.3 72.9 13.2
부채비율 (%) 9.0 12.4 7.0 11.7
자기자본비율 (%) 91.7 89.0 93.5 89.5

주요 재무제표

구분 2021 2022 2023 2024 1분기
매출액 (억원) 374.2 593.1 409.0 61.1
영업이익 (억원) 68.0 96.1 55.6 5.5
순이익 (억원) 75.4 91.3 72.9 13.2
자산총계 (억원) 736.6 828.5 814.7 822.5
부채총계 (억원) 61.0 91.1 53.1 86.0
자본총계 (억원) 675.6 737.4 761.7 736.5

10. 종합 평가

제룡산업은 전력산업용 금구류 제조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이 기대됩니다. 2023년 매출액은 409.0억 원, 영업이익은 55.6억 원, 순이익은 72.9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전방산업의 설비 투자 회복과 함께 장기적인 인프라 증설 계획이 집행되면서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동사는 HVDC 기술 발전과 도입 확대에 따라 HVDC 송전선로에 적용 가능한 금구류를 개발하고 있으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