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엔에스 목표주가 54,000원 리서치 보고서




케이엔에스 주가 보고서

케이엔에스 주가 보고서

1. 회사 개요

케이엔에스(432470/KQ)는 자동화 장비 제작 기업으로, 2차전지향 CID 및 BMA 부품 제조 장비가 주력입니다. CID는 전류 차단장치로 원통형 셀의 조립 공정에 사용되며, BMA 모듈은 파우치형 셀의 팩 공정에 사용됩니다. 케이엔에스는 국내 셀 3사의 벤더 부품사들에 장비를 납품 중입니다. 최근 신규 상장 주식 활황과 2차전지 업황의 영향을 받아 주가가 강하게 상승하였으나, 이후 업황이 꺾이면서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업황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CID 장비 라인업 강화, 신규 각형 장비 수주 기대, JV를 통한 부품 진출, 상반기 전환 사채 물량 소화 등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년도 매출액 (억원) 영업 이익 (억원) 세전이익 (억원) 순이익 (억원) EPS (원) PER (배) PBR (배) ROE (%)
2022 347 61 58 48 1,584 0.0 0.0 44.8
2023 300 40 39 32 1,003 62.6 11.6 9.7

3. 2024년 실적 전망

2024년 케이엔에스의 예상 매출액은 350억 원, 영업이익은 55억 원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16.7% 증가, 영업이익 37.5% 증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성장 동력은 CID 장비 라인업 강화와 신규 각형 장비 수주 증가입니다.

4. 2분기 실적 전망

2024년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87억 원, 영업이익 13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25% 증가, 영업이익 30% 증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요인은 CID 장비 수주 증가와 신규 각형 장비의 본격적인 매출 반영입니다.

5. 하반기 실적 전망

하반기에는 CID 장비와 각형 장비의 꾸준한 수주와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 JV 설립을 통한 부품 직접 생산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이 확보될 것입니다. 신규 각형 장비 수주와 기존 Pilot line 대응 고객사의 본라인 수주가 기대됩니다.

6. 시장 분석

전방(반도체/2차전지) 수요 둔화로 스위스턴 자동선반의 매출 감소와 부진한 실적이 지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수주 확보 노력으로 신규 수요처(방산/IT) 중심의 회복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2024년은 방산/IT 수요를 통해 회복 중에 있으며, 2023년 전방 수요 둔화로 매출 928억 원(-28% YoY), 영업손익 -66억 원(적자전환 YoY)으로 부진했습니다. 그러나 고객 확보와 체력 개선에 힘써 수주 잔고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1Q24 기준 수주 잔고는 290억 원까지 상승하였습니다. 1Q24까지는 일부 매출이 이연되면서 매출 176억 원(-13% YoY), 영업손익 -27억 원(적자전환 YoY)으로 부진이 지속되었으나 2Q24부터 물류 차질 등으로 이연된 매출이 반영되며 개선될 전망입니다. 방산의 경우 글로벌 국방 경쟁 격화에 따라 올해 성장이 담보된 상황입니다. 주 고객처(이스라엘)향 성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신규 사업인 폴더블폰 힌지 가공도 중국 경쟁사 물량을 잠식하며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Valuation은 적자전환 후 주가 부진으로 2024F PBR 0.8배 수준까지 하락하였으나, 2024년 신규 수요처 확보를 통한 매출 성장과 수익성 턴어라운드가 확인되면 밸류에이션 회복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

7. Valuation

케이엔에스의 목표주가는 54,000원이며, 2024년 예상 PER은 21.4배, PBR은 0.8배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는 동사의 성장 가능성과 수익성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8. 성장 전망

케이엔에스는 자동화 장비 제작 기업으로, 2차전지향 CID 및 BMA 부품 제조 장비가 주력입니다. CID는 전류 차단장치로 원통형 셀의 조립 공정에 사용되며, BMA 모듈은 파우치형 셀의 팩 공정에 사용됩니다. 케이엔에스는 국내 셀 3사의 벤더 부품사들에 장비를 납품 중입니다. 최근 신규 상장 주식 활황과 2차전지 업황의 영향을 받아 주가가 강하게 상승하였으나, 이후 업황이 꺾이면서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업황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CID 장비 라인업 강화, 신규 각형 장비 수주 기대, JV를 통한 부품 진출, 상반기 전환 사채 물량 소화 등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9. 리스크 분석

주요 리스크로는 전방 수요 둔화, 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변동성,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0. 주요 제품

케이엔에스의 주요 제품은 CID, BMA 부품 제조 장비로, 이들 제품은 국내 셀 3사의 벤더 부품사들에 납품되고 있습니다.

11. 연혁

케이엔에스는 2005년 설립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글로벌 자동화 장비 제작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05: 케이엔에스 설립
  • 2022: 코스닥 시장 상장

12.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목표주가는 54,000원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 2024F 2025F
PER 21.4 10.3
PBR 0.8 0.8
ROE 3.9% 7.6%

13. 종합 평가 및 주가 전망

케이엔에스는 CID 장비와 각형 장비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며, 비용 구조 개선과 신규 수요처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목표주가는 54,000원으로,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