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기술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한전기술(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입니다. 주요 사업은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설계, 발전설비 운영 및 유지보수(O&M), 플랜트 건설사업,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등입니다. 한전기술은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로, 국내 원자력발전소 설계와 엔지니어링을 독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한전기술의 최근 5년간의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매출액 (십억원) | 영업이익 (십억원) | 순이익 (십억원) | EPS (원) | PER (배) | ROE (%) |
---|---|---|---|---|---|---|
2020 | 432 | 30 | 20 | 527 | 33.8 | 4.1 |
2021 | 433 | 10 | 16 | 430 | 197.5 | 3.2 |
2022 | 505 | 14 | 18 | 470 | 116.2 | 3.4 |
2023 | 545 | 29 | 33 | 854 | 72.7 | 6.0 |
2024E | 607.8 | 40.6 | 40 | 1,047 | 67.0 | 6.6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한전기술은 국내 독보적인 원자력발전소 설계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으로, 글로벌 원전 시장의 확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체코, UAE 등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증가함에 따라 한전기술의 수주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 중립과 에너지 자립을 위한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전기술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탄소 중립과 에너지 자립을 위해 원자력 발전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체코를 비롯하여 폴란드, 영국, UAE, 튀르키예,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네덜란드 등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가시화 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체코의 경우 두코바니에 2기, 테믈린에 2기 등 1200MW 규모 원전을 최대 4기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추정 사업비가 30조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오는 6월까지 한수원과 프랑스 EDF가 제출한 최종 입찰서를 놓고 체코전력공사(CEZ)가 평가한 뒤 7월 중으로 신규원전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4. 경쟁사 비교
한전기술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랑스 EDF:
- 규모: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전기술보다 훨씬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 주요 제품: 원자력 발전소 설계 및 건설
- 연구개발: 첨단 원자력 기술과 다양한 원전 프로젝트 수행
영국 Rolls-Royce:
- 규모: 항공기 엔진과 원자력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한전기술보다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 주요 제품: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설계 및 건설
- 연구개발: 혁신적인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술과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
5. 성장 전망
한전기술은 글로벌 원전 시장의 확대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체코, 폴란드, 영국, UAE 등에서의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가 가시화되면서 한전기술의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대형원전과 SMR(소형 모듈형 원자로) 등 신규 원전 건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어, 한전기술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UAE의 총 5600MW 규모 원전 4기를 지난 2009년 한국전력공사 컨소시엄이 수주함에 따라 그 동안 바라카 원전 1~4호기를 건설하였습니다. 바라카 원전 1호기는 2021년 4월, 2호기는 2022년 3월, 3호기는 지난해 2월에 각각 상업 운전을 시작해 현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 중이며, 바라카 원전 4호기는 지난 3월 최초 임계에 도달한 이후 약 3주 만에 송전망 계통을 연결함에 따라 출력상승시험 등 후속 시험을 마치고 올해 중으로 상업운전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바라카 원전의 경우 당초 8기 규모로 구상이 되었던 사업이기 때문에 바라카 원전 4호기의 상업운전이 시작되면 후속작업으로 원전 5,6호기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라카 원전 1~4호기의 성공적인 수행 등을 고려할 때 원 전 5,6호기 사업이 추진될 경우 한국의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전기술에게 수혜가 예상됩니다.
6. 리스크 분석
한전기술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리스크: 글로벌 원자력 발전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주요 경쟁사들과의 기술 및 가격 경쟁이 치열합니다.
- 프로젝트 지연 리스크: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일정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매출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원자재 가격 변동 리스크: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이 회사의 원가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한전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제품군으로의 확장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하고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한전기술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자력 발전소 설계: 국내외 원자력 발전소의 종합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화력 발전소 설계: 국내외 화력 발전소 설계 및 성능 개선 사업을 수행합니다.
- 신재생 에너지 설계: 해상 및 육상 풍력 발전소, 연료전지, 태양광 발전소 설계 및 EPC(설계, 조달, 시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8. 연혁
한전기술은 1975년에 설립되어 국내외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설계 엔지니어링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975년: 한전기술 설립
-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4기 수주
- 2021년: 바라카 원전 1호기 상업 운전 시작
- 2022년: 바라카 원전 2호기 상업 운전 시작
- 2023년: 바라카 원전 3호기 상업 운전 시작
- 2023년: 바라카 원전 4호기 최초 임계 도달 및 상업 운전 준비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한전기술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03: 매수 (유지), 목표주가 94,000원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94,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E |
---|---|---|---|---|---|
EPS(원) | 527 | 430 | 470 | 854 | 1,047 |
BPS(원) | 13,058 | 13,434 | 14,218 | 14,320 | 15,367 |
PER(배) | 33.8 | 197.5 | 116.2 | 72.7 | 67.0 |
PBR(배) | 1.4 | 6.3 | 3.8 | 4.3 | 4.3 |
ROE(%) | 4.1 | 3.2 | 3.4 | 6.0 | 6.8 |
EV/EBITDA(배) | 11.4 | 92.8 | 62.8 | 45.8 | 38.0 |
주요 재무제표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E |
---|---|---|---|---|---|
매출액 (십억원) | 432 | 433 | 505 | 545 | 608 |
영업이익 (십억원) | 30 | 10 | 14 | 29 | 41 |
세전순이익 (십억원) | 27 | 18 | 26 | 44 | 53 |
당기순이익 (십억원) | 20 | 16 | 18 | 33 | 40 |
자산총계 (십억원) | 700 | 706 | 817 | 855 | 923 |
부채총계 (십억원) | 201 | 192 | 273 | 308 | 346 |
자본총계 (십억원) | 499 | 513 | 543 | 547 | 577 |
10. 종합 평가
한전기술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원자력발전소 설계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으로, 글로벌 원전 시장의 확대와 함께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체코, UAE 등에서의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될 신규 원전 건설 계획으로 인해 한전기술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한전기술의 재무 상태는 안정적이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요 리스크인 경쟁 심화, 프로젝트 지연, 원자재 가격 변동 등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94,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한전기술의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과 안정적인 재무 구조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