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스틸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KG스틸(016380)은 철강 및 금속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석도강판 등이 있습니다. 2024년 5월 23일 기준 시가총액은 676.1 십억원, 발행주식수는 100.0 백만주입니다.
KG스틸은 철강산업 내에서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은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석도강판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컬러강판의 수출 증가와 함께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아연도금강판:
- 내수 판매 감소, 국내 자동차 생산 감소로 수요 하락
- 하지만,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
컬러강판:
- 수출 호조, 건설향 컬러강판 수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
- 특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가 두드러짐
석도강판:
- 내수와 수출이 예년 수준을 유지
- 생산 감소로 재고 감소세 지속
- 주요 사용처는 포장용기 및 가전제품
3. 시장 및 경쟁 환경
KG스틸은 국내외 철강 및 금속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주요 경쟁사로는 포스코, 현대제철 등이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와 환율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큽니다. 또한, 주요 원재료 가격 변동 역시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KG스틸은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KG스틸의 최근 5개년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매출액 (십억원) | 3,819.7 | 3,429.8 | 3,419.2 | 3,748.7 | 3,781.1 |
영업이익 (십억원) | 340.4 | 280.4 | 264.0 | 275.6 | 317.0 |
순이익 (십억원) | 536.0 | 234.4 | 155.6 | 175.5 | 207.5 |
EPS (원) | 5,357 | 2,342 | 1,554 | 1,753 | 2,073 |
ROE (%) | 37.7 | 13.1 | 8.0 | 8.4 | 9.3 |
PBR (배) | 0.4 | 0.5 | 0.3 | 0.3 | 0.3 |
EV/EBITDA (배) | 4.2 | 4.6 | 3.7 | 3.3 | 2.5 |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KG스틸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목표주가는 12,000원입니다. 이는 KG스틸의 실적 개선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현재 주가는 6,760원으로, 목표주가 대비 상승 여력은 약 80%입니다.
투자 포인트:
- 안정적인 사업포트폴리오: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석도강판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
- 수출 증가: 컬러강판 수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
- 고환율 효과: 환율 상승 시 영업이익률 개선
- 글로벌 시장 확대: 주요 시장인 미국과 유럽에서의 수요 증가
6. 위험 요소
경기 변동성: 글로벌 경기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큽니다.
환율 변동성: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쟁 심화: 주요 경쟁사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시장 점유율 유지 필요
원재료 가격 변동: 원재료 가격 상승 시 수익성 악화 가능성
7. 결론
KG스틸은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한 철강 및 금속 제조업체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액 3,419.2억원, 영업이익 264.0억원, 순이익 155.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목표주가는 12,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은 약 80% 입니다. 다만, 경기 변동성, 환율 변동성, 경쟁 심화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KG스틸은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
8. 추가 정보
KG스틸은 철강 및 금속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석도강판 등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시장은 국내외 철강 및 금속 시장이며, 글로벌 경기와 환율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큽니다. 또한, 친환경 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