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나텍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비나텍(126340.KQ)은 슈퍼캡과 연료전지 부품(MEA, 지지체 등)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슈퍼캡은 회사의 캐시카우 사업부로, 화학적으로 충방전하는 배터리와 달리 물리적으로 충방전하는 슈퍼캡은 배터리보다 용량은 작지만 출력이 높아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비나텍은 연료전지스택의 핵심 부품인 MEA(막전극 집합체) 생산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여, 연료전지와 수전해 업체들에게 납품할 계획입니다. 회사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슈퍼캡 사업과 신사업인 MEA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비나텍의 최근 5년간의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매출액 (십억원) | 영업이익 (십억원) | 순이익 (십억원) | EPS (원) | PER (배) | ROE (%) |
---|---|---|---|---|---|---|
2023A | 55.0 | 3.0 | 2.0 | 325 | 143.0 | 3.2 |
2024F | 68.1 | 6.3 | 3.1 | 532 | 97.6 | 4.7 |
2025F | 82.5 | 9.2 | 5.1 | 874 | 59.4 | 7.2 |
2026F | 103.9 | 13.1 | 8.3 | 1,433 | 36.2 | 10.8 |
2027F | 127.7 | 17.7 | 12.3 | 2,119 | 24.5 | 14.1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연간 신규 수주액
분기별 수주잔고
3. 시장 분석
비나텍이 속한 슈퍼캡 및 연료전지 부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슈퍼캡은 기존 커패시터보다 축전 용량이 더 크고 충방전이 물리적 반응을 통해 이루어져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며, 현재 스마트미터기와 전장향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향후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으로 확장 가능성이 큽니다.
연료전지 부품 시장에서 MEA(막전극 집합체)는 연료전지 스택의 핵심 부품으로, 회사는 PEMFC용 MEA를 생산하며, 내구성을 보강해 수전해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선진국의 정책 자금이 투입되는 환경에서 수전해 및 연료전지 업체가 증가하고 있어 비나텍의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경쟁사 비교
비나텍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전자:
- 규모: 세계 최대의 전자 및 반도체 제조업체 중 하나로, 비나텍보다 훨씬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 주요 제품: 전자기기,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 연구개발: 첨단 기술과 대규모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LG화학:
- 규모: 글로벌 화학 및 배터리 제조업체로, 비나텍보다 훨씬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 주요 제품: 배터리, 화학 제품, 첨단 소재
- 연구개발: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대규모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성장 전망
비나텍은 2024년 매출액 681억원, 영업이익 63억원을 예상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각각 2,292억원, 378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슈퍼캡의 매출은 2024년에 534억원, MEA 및 연료전지 부품의 매출은 124억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슈퍼캡의 고용량화와 다변화, MEA 캐파의 가동률 상승이 매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될 것입니다.
비나텍은 슈퍼캡의 고용량화 및 다변화 전략과 연료전지 부품의 수요 증가를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도모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4년부터 주요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매출 다변화를 꾀할 계획입니다.
6. 리스크 분석
비나텍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과잉재고 리스크: 슈퍼캡 및 MEA의 수요 예측 실패로 인한 재고 관리 문제
- 경쟁 심화 리스크: 글로벌 경쟁사의 기술 개발 및 시장 진입으로 인한 경쟁 심화
- 정책 변화 리스크: 주요 국가의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른 수요 변동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비나텍은 효율적인 재고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경쟁력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비나텍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슈퍼캡: 기존 커패시터보다 축전 용량이 큰 커패시터로, 스마트미터기, 전장향, ESS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됩니다.
- MEA: 막전극 집합체로, 연료전지 스택의 핵심 부품입니다. PEMFC용 MEA를 주로 생산하며, 내구성을 보강해 수전해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8. 연혁
비나텍은 2024년 상반기에 슈퍼캡과 MEA 사업부의 확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본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비나텍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12: Buy, 목표주가 84,000원
2024년 목표주가는 84,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항목 | 2023 | 2024F | 2025F | 2026F | 2027F |
---|---|---|---|---|---|
EPS(원) | 325 | 532 | 874 | 1,433 | 2,119 |
BPS(원) | 11,073 | 11,647 | 12,521 | 13,954 | 16,073 |
PER(배) | 143.0 | 97.6 | 59.4 | 36.2 | 24.5 |
PBR(배) | 4.2 | 4.5 | 4.1 | 3.7 | 3.2 |
ROE(%) | 3.2 | 4.7 | 7.2 | 10.8 | 14.1 |
EV/EBITDA(배) | 36.0 | 26.1 | 21.9 | 18.3 | 15.1 |
주요 재무제표
구분 | 2023A | 2024F</ | 2025F | 2026F | 2027F |
---|---|---|---|---|---|
매출액 (십억원) | 55.0 | 68.1 | 82.5 | 103.9 | 127.7 |
영업이익 (십억원) | 3.0 | 6.3 | 9.2 | 13.1 | 17.7 |
세전순이익 (십억원) | 1.7 | 3.9 | 6.3 | 10.4 | 15.4 |
당기순이익 (십억원) | 2.0 | 3.1 | 5.1 | 8.3 | 12.3 |
자산총계 (십억원) | 130.0 | 173.6 | 191.4 | 201.3 | 212.5 |
부채총계 (십억원) | 65.7 | 106.0 | 118.7 | 120.3 | 119.3 |
자본총계 (십억원) | 64.3 | 67.6 | 72.7 | 81.0 | 93.3 |
10. 종합 평가
비나텍은 슈퍼캡과 연료전지 부품(MEA)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81억원, 63억원으로 예상되며, 2030년에는 각각 2,292억원, 378억원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무 상태는 안정적이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잉재고 리스크와 경쟁 심화, 정책 변화 등 잠재적인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목표주가는 2024년 84,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