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PS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한전KPS(051600)는 발전 설비의 경상정비 및 계획예방정비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주요 고객은 한국전력공사이며, 국내외 다양한 발전소에서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4년 5월 16일 기준 목표주가는 52,000원으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한전KPS의 최근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매출액 (십억원) | 영업이익 (십억원) | 순이익 (십억원) | EPS (원) | PER (배) | PBR (배) | ROE (%) | EV/EBITDA (배) |
---|---|---|---|---|---|---|---|---|
2022 | 1,429.1 | 130.6 | 100.2 | 2,226 | 14.91 | 1.23 | 8.61 | 7.35 |
2023 | 1,533.9 | 199.4 | 162.7 | 3,615 | 9.42 | 1.20 | 13.08 | 5.91 |
2024E | 1,557.7 | 194.1 | 158.2 | 3,516 | 10.27 | 1.22 | 12.14 | 6.04 |
2025E | 1,605.9 | 203.6 | 165.4 | 3,675 | 9.82 | 1.15 | 12.05 | 5.65 |
2026E | 1,637.0 | 214.1 | 174.7 | 3,882 | 9.30 | 1.09 | 12.01 | 5.23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한전KPS는 연내 발표되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신규 기저발전 도입 계획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장기적으로 발전 설비의 증가가 예상되며, 해외 원전 수주 여부도 주목할 만한 이슈입니다.
4. 경쟁사 비교
한전KPS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경쟁사:
- 한국전력공사: 한전KPS의 주요 고객이자 경쟁사로, 국내 전력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합니다.
-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 발전소 운영 및 관리에 중점을 둔 기업입니다.
해외 경쟁사:
- 에너지솔루션즈: 글로벌 전력 설비 유지보수 업체로, 다양한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시멘스 에너지: 독일의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발전 설비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5. 성장 전망
한전KPS는 신규 기저발전 도입과 전기화에 따른 중장기적인 발전 설비 증가 기조가 나타날 수 있으며, 해외 원전 수주 여부도 주목할 만한 이슈입니다. 2024년 기준으로 매출액은 1,557.7억원, 영업이익은 194.1억원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분기별 매출의 계절성이 뚜렷하여 전력수요 성수기인 1분기와 3분기는 매출 규모가 작고, 2분기와 4분기에는 외형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6. 리스크 분석
한전KPS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리스크: 국내외 경쟁사들과의 가격 및 기술 경쟁이 치열합니다.
- 시장 수요 변동 리스크: 전력 수요의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큽니다.
- 환율 변동 리스크: 해외 사업 확대에 따른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한전KPS는 지속적인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한전KPS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상정비: 발전 설비의 일상적인 유지보수 서비스
- 계획예방정비: 발전 설비의 계획적인 정기 점검 및 보수
- 개보수: 설비의 개량 및 보수 작업
8. 연혁
한전KPS는 1974년에 설립되어 발전 설비 유지보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974년: 한전KPS 설립
- 1980년대: 국내 발전소 유지보수 사업 확대
- 1990년대: 해외 사업 진출
- 2000년대: 원자력 발전소 유지보수 사업 진출
- 2020년대: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시장 확대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한전KPS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12: 52,000원 (유지)
현재 한전KPS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52,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항목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EPS(원) | 2,226 | 3,615 | 3,516 | 3,675 | 3,882 |
PER(배) | 14.91 | 9.42 | 10.27 | 9.82 | 9.30 |
PBR(배) | 1.23 | 1.20 | 1.22 | 1.15 | 1.09 |
ROE(%) | 8.61 | 13.08 | 12.14 | 12.05 | 12.01 |
EV/EBITDA(배) | 7.35 | 5.91 | 6.04 | 5.65 | 5.23 |
주요 재무제표
구분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매출액 (십억원) | 1,429.1 | 1,533.9 | 1,557.7 | 1,605.9 | 1,637.0 |
영업이익 (십억원) | 130.6 | 199.4 | 194.1 | 203.6 | 214.1 |
순이익 (십억원) | 100.2 | 162.7 | 158.2 | 165.4 | 174.7 |
자산총계 (십억원) | 1,562.0 | 1,597.3 | 1,657.3 | 1,739.0 | 1,824.9 |
부채총계 (십억원) | 346.3 | 324.7 | 323.6 | 326.7 | 328.9 |
자본총계 (십억원) | 1,215.7 | 1,272.6 | 1,333.7 | 1,412.2 | 1,496.0 |
10. 종합 평가
한전KPS는 국내외 발전 설비 유지보수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연내 발표될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신규 기저발전 도입 계획이 포함될 예정입니다. 중장기적으로 발전 설비의 증가가 예상되며, 해외 원전 수주 여부도 주목할 만한 이슈입니다.
2024년 기준으로 매출액은 1,557.7억원, 영업이익은 194.1억원, 순이익은 158.2억원으로 예상되며, 목표주가는 52,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한전KPS는 지속적인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통해 두 자리 수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