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주담대 7프로 돌파 가능성 부채로 시장 무너질 수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상승시켜 한·미 금리 차이가 2%포인트로 확대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은 6개월 동안 동결되었던 기준금리를 놓고 다시 고민해야 한다.


국내 은행 대출금리가 상승하면서 대출을 받은 이들의 이자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금융 관련 정보에 기반해서 연준이 최근에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0.25%포인트 기준금리를 5.25~5.50%로 인상했다. 이렇게 된 이유는 2001년 이후로 22년 만에 가장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부터 올 5월까지 15개월 동안 금리를 올리다가 지난 6월에 금리를 동결한 후 이번에 다시 인상하였다. 그 결과 한·미 금리 역전 차이가 역대 최대인 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이번 결정에 따른 정책 문구의 변화는 크게 없으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후의 정책이 경제 지표에 따라 결정될 것이며, 9월에 금리 인상과 동결이 모두 가능하다고 밝혔다.


금리 인상 가능성을 설명한 파월 의장은 연준이 장기적으로 금리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로 인해 올해 내의 금리 인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여진다.


한편 한국은행은 다음달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여 금리 추가 인상이 가능하다고 전망된다.


한은 부총재 이승헌은 "향후 연준의 금리 결정이 데이터 의존적임을 확인한 만큼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하며,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면밀히 주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시장금리는 이미 오르고 있다. 은행채 5년물 금리도 지난 5월 3.8%에서 최근 4.2%로 상승했다.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하고 있으며,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연준이 9월에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수 있어 한국은행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연내 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투데이 뉴스 키포인트 

📈 한국은행, 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 고려 📉

1️⃣ 한국은행, 원/달러 환율 상승 등 시장 변동성 확대로, 추가 인상 카드 고려

2️⃣ 미국 등 주요국의 물가, 경기 상황 변화로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3️⃣ 한·미 금리차이가 2.25%포인트에 이르면 한국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없다는 전망

4️⃣ 전문가들, 연준의 추가 인상에 한국은행 금리 추가 인상에 동참하지 않아도 연내 금리 인하는 힘들 것이라는 공통적 전망 제시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