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세계 헤지펀드들 中 주식 전량 매도 중 中 을 떠나라

[속보] 전세계 헤지펀드들 中 주식 전량 매도 중 中 을 떠나라

  [투데이 뉴스 김명신 기자] 중국의 부동산 업계에 대한 걱정이 커지며, 중국 경제 지표가 약화되는 동안 헤지 펀드들이 중국 주식을 적극적으로 팔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15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글로벌 헤지 펀드들이 중국 주식을 적극적으로 매도하고 있다"며 "모든 종류의 주식이 매도되었지만,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모회사의 주가 매도의 60%를 차지하며 판매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헤지 펀드들은 14일까지 프라임 북의 최근 10개 세션 중 8개 세션에서 중국 주식을 순매도했다"고 설명했다. "고객들은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을 모두 줄였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10일 기간 동안 중국 주식의 최대 순매도이자 최근 5년 동안 가장 큰 변동성을 의미한다.


골드만삭스는 투자자에게 대출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장 큰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체 중 하나로, 헤지 펀드의 투자 동향을 추적할 수 있다.


한편, 중국의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심화되고 있다. 이날 아시아 시장에서 발표된 중국의 7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으며, 산업 생산은 3.7% 증가했다. 1월부터 7월까지의 고정자산 투자도 3.4%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를 못 미쳤다.


이에 따라 최근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불안이 당국의 통화 완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확산되고 있다. 중국은 이날 주요 정책 금리를 인하하여 중국 인민은행이 7일물 역 레포 금리와 1년 만기 중기 유동성 지원창구(MLF) 금리를 각각 0.1%와 0.15% 인하했다.


헤지 펀드들은 중국과의 관련성을 점차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코튜, D1 캐피털, 타이거글로벌을 포함한 미국 기반 헤지 펀드 대부분이 2분기 중국 주식에 대한 자산을 줄였다. 최근 증권 신고서에 따르면, 이는 "중국의 경제 전망이 불안정하고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됐기 때문"이라고 나타났다.

1.로이터통신과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헤지펀드들이 중국 주식을 적극적으로 매도

2. 부동산 시장 불안과 경제 지표 약화로 주식 매도에 판매를 주도

3. 골드만삭스는 프라임 아시아 섹터에서 중국 주식의 최대 순매도를 기록

4. 중국 경기 둔화 우려 심화, 소매판매 2.5%, 산업 생산 3.7%, 고정자산 투자 3.4%로 시장 예상치 못 미쳐

5. 중국 정책금리 인하 및 불안 요인들로 미국 기반 헤지펀드들이 중국 주식 자산 축소

투데이뉴스 김명신 기자

<Copyright ⓒ 투데이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