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목표주가 28만원 리서치보고서 램시마SC가 키포인트


셀트리온 리서치 보고서

셀트리온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글로벌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주요 제품으로는 램시마, 허쥬마, 트룩시마 등이 있으며, 최근 짐펜트라의 미국 판매를 시작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항암제, 그리고 기타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주요 제품 및 신제품 출시: 짐펜트라는 infliximab 제제 중 유일하게 자가 투약이 가능한 품목으로, 2023년 3월부터 미국 시장에 출시되었습니다. 짐펜트라는 주요 PBM 중 하나인 Express Scripts의 선호 의약품으로 등재되었으며, 나머지 두 개의 주요 PBM 등재도 상반기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소형 PBM의 경우 이미 등재 및 처방이 시작되었으며, Express Scripts의 처방이 시작되는 7월 이후 시장 침투가 빠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가 투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병원 방문 비용을 줄일 수 있어 환자뿐 아니라 PBM들의 선호도도 높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램시마 SC: 램시마 SC는 유럽에서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2023년 4분기 기준 유럽 주요 국가(EU5)에서의 점유율은 21%로 전분기 대비 1%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하였습니다. 램시마 전체(램시마SC + 램시마IV)로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70~80% 수준의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램시마 SC는 자가 투약이 가능하여 일정한 간격(2주)으로 투약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 IV 제형보다 더 안정적인 약물 농도 유지와 높은 치료 지속성을 제공합니다.

RT-111: 셀트리온은 라니 테라퓨틱스와 공동으로 경구용 바이오시밀러 RT-111(ustekinumab)을 개발 중입니다. 2023년 3월, RT-111의 임상 1상 결과가 공개되었으며, 피하 주사 대비 84%의 생체 이용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투약 관련 부작용은 0.5mg 투약군에서 1명(5%) 발생했으며, 0.75mg 투약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경구용 제품으로서의 높은 생체 이용률과 안전성을 보여주며, 향후 시장에서의 높은 경쟁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와 새로운 제품 출시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셀트리온은 이러한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쟁사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셀트리온은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적인 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항목 2022 2023 2024F 2025F 2026F
매출액 (십억원) 2,284 2,176 3,383 4,087 4,421
영업이익 (십억원) 647 651 603 1,459 1,747
지배순이익 (십억원) 538 536 481 1,183 1,441
EPS (원) 3,677 3,639 2,212 5,450 6,639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280,000원입니다. 이는 2025년 예상 EBITDA에 램시마 SC 유럽 출시 당시 EV/EBITDA에서 10% 할인한 30배를 적용하여 산출된 것입니다. 셀트리온의 목표 주가는 짐펜트라의 미국 판매와 같은 주요 이벤트를 반영한 것입니다. 짐펜트라는 미국에서 높은 병원 방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램시마 SC의 유럽 시장에서의 성장은 셀트리온의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이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위험 요소

높은 원가율: 셀트리온은 합병 후 단기적으로 높은 원가율이 예상되며, 이는 기존 재고의 영향과 PPA 상각 비용 반영에 기인합니다. 그러나 원가율이 안정화되는 2025년부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원가율 개선은 셀트리온의 전반적인 수익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경쟁 심화: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셀트리온은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경쟁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경구용 바이오시밀러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7. 결론

셀트리온은 짐펜트라의 미국 판매와 함께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2024년과 2025년 매출 및 영업이익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되며, 목표주가는 280,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다만, 높은 원가율과 경쟁 심화 등의 리스크는 존재합니다. 셀트리온은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추천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