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버스 주가 보고서
목차
1. 회사 개요
웨이버스(336060)는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 공간정보 플랫폼 사업, 국토/지적/부동산 공간정보 SI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객으로는 한국국토정보공사와 국토교통부 등 여러 공공기관이 있으며, 공공 서비스 영역에서 꾸준한 유지보수 용역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 재무 정보
년도 | 매출액 (억원) | 영업 이익 (억원) | 지배순이익 (억원) | EPS (원) | PER (배) | PBR (배) | ROE (%) |
---|---|---|---|---|---|---|---|
2020 | 379 | 51 | 48 | 103 | 22.7 | 8.2 | 72.2 |
2021 | 405 | 18 | -81 | -173 | -12.0 | 3.6 | -40.3 |
2022 | 488 | 51 | 71 | 148 | 11.5 | 2.3 | 22.8 |
3. 2024년 실적 전망
2024년 웨이버스의 예상 매출액은 500억 원, 영업이익은 60억 원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2.5% 증가, 영업이익 17.6% 증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성장 동력은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수요 증가와 신규 프로젝트 수주입니다.
4. 2분기 실적 전망
2024년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125억 원, 영업이익 15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2% 증가, 영업이익 20% 증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요인은 신규 프로젝트 수주와 유지보수 용역 매출 증가입니다.
5. 하반기 실적 전망
하반기에는 신규 프로젝트 수주와 유지보수 용역 매출 증가로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안정적인 유지보수 계약과 공공기관과의 대고객 관계가 지속되며 실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6. 시장 분석
웨이버스는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 공공기관과의 오랜 관계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 발표에 따르면 동해에 최대 140억 배럴의 가스와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으며, 이는 웨이버스가 한국석유공사와 CCS 탄성파 탐사 관련 특허를 공동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해당 특허는 CCS 부지 선정을 위한 지질 정보, 물리검층 정보 등을 관리하고 시각화하는 시스템 제공과 관련된 특허로, 직접적인 석유 개발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7. Valuation
웨이버스의 목표주가는 2650원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 | 2024F | 2025F |
---|---|---|
PER | 11.5 | 10.2 |
PBR | 2.3 | 2.0 |
ROE | 22.8% | 24.1% |
8. 성장 전망
웨이버스는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수요 증가와 신규 프로젝트 수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공공기관과의 안정적인 유지보수 계약과 신규 시장 진출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9. 리스크 분석
주요 리스크로는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신규 프로젝트 수주 실패, 원자재 가격 변동성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0. 주요 제품
웨이버스의 주요 제품은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으로, 국토/지적/부동산 공간정보 SI 사업, SW개발 및 유지보수 용역을 포함합니다. 주요 고객은 한국국토정보공사와 국토교통부 등 공공기관입니다.
11. 연혁
웨이버스는 2010년 설립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국내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0: 웨이버스 설립
- 2021: 스팩 합병 상장
- 2024: 동해 석유·가스 사업 발표
12.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목표주가는 2650원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 | 2024F | 2025F |
---|---|---|
PER | 11.5 | 10.2 |
PBR | 2.3 | 2.0 |
ROE | 22.8% | 24.1% |
13. 종합 평가 및 주가 전망
웨이버스는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수요 증가와 신규 프로젝트 수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목표주가는 2650원이며, 현재 주가는 2024F 기준 PER 11.5배, PBR 2.3배 수준입니다. 공공기관과의 안정적인 유지보수 계약과 신규 시장 진출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