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넥스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바이넥스는 생물보안법의 수혜와 셀트리온 효과로 가동률 상승이 가시화되는 바이오 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입니다. 미국의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은 미국인의 개인 건강과 유전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이 법안의 통과로 인해 중국의 CDMO 기업들이 제재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바이넥스와 같은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얻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이넥스는 송도와 오송에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셀트리온과의 협력을 통해 바이오시밀러 품목의 위탁생산을 맡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으로 인해 바이넥스의 가동률 상승과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2. 재무 정보
바이넥스의 최근 5년간의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매출액 (십억원) | 영업이익 (십억원) | 순이익 (십억원) | EPS (원) | PER (배) | BPS (원) | PBR (배) | ROE (%) |
---|---|---|---|---|---|---|---|---|
2020 | 1,330 | 161 | 62 | 202 | 131.4 | 5,593 | 4.9 | 3.8 |
2021 | 1,344 | 131 | 190 | 601 | 25.3 | 5,992 | 2.7 | 10.8 |
2022 | 1,567 | 172 | 124 | 392 | 29.5 | 6,344 | 1.9 | 6.7 |
2023 | 1,548 | 10 | 46 | 147 | 60.9 | 6,020 | 1.5 | 2.5 |
2024E | 1,313 | -42 | -62 | -62 | - | - | - | -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바이넥스는 미국의 생물보안법 제정으로 인해 신규 고객 확보가 가능해졌습니다. 미국 의회는 미국 기업이 중국 기업과 계약하는 것을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CDMO 기업들이 새로운 대안을 찾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바이넥스는 새로운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또한, 바이넥스는 셀트리온과의 협력을 통해 바이오시밀러 품목의 생산을 맡고 있으며,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품목이 FDA 등의 승인을 받게 되면 바이넥스의 가동률이 상승하고 매출이 확대될 것입니다.
4. 경쟁사 비교
바이넥스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 규모: 메가 스케일 CMO로, 최대 200,000L의 배양 용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바이오 의약품 생산
- 연구개발: 지속적인 R&D 투자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WuXi Biologics:
- 규모: 중국의 대형 CMO로, 100,000L 이상의 배양 용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바이오 의약품 생산
- 연구개발: 글로벌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Lonza:
- 규모: 스위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CMO로, 다양한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바이오 의약품 생산
- 연구개발: 지속적인 R&D 투자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5. 성장 전망
바이넥스는 셀트리온과의 협력을 통해 바이오시밀러 품목의 생산을 맡게 되면서 가동률 상승과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미국 생물보안법 제정으로 인한 신규 고객 확보로 CMO 가동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이넥스의 바이오 CMO 수주 잔고는 2021년말 619억원, 2022년말 667억원을 유지했으나, 2023년말에는 284억원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주요 고객인 바이오텍의 부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6. 리스크 분석
바이넥스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리스크: 바이오 의약품 CDMO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환율 변동 리스크: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 환율 변동에 민감합니다.
- 기술 변화 리스크: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기술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바이넥스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비용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바이넥스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물세포 배양 의약품: 송도와 오송 공장에서 생산
- 미생물 세포 배양 의약품: 송도 공장에서 생산
- 바이오시밀러: 셀트리온과의 협력으로 생산
8. 연혁
바이넥스는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왔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0년: 매출액 1,330억원, 영업이익 161억원, 순이익 62억원
- 2021년: 매출액 1,344억원, 영업이익 131억원, 순이익 190억원
- 2022년: 매출액 1,567억원, 영업이익 172억원, 순이익 124억원
- 2023년: 매출액 1,548억원, 영업이익 10억원, 순이익 46억원
- 2024년: 매출액 1,313억원, 영업이익 -42억원, 순이익 -62억원 예상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바이넥스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11:30,000원
현재 바이넥스에 대한 투자의견은 BUY로, 목표주가는 30,000원입니다.
주요 투자 지표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E |
---|---|---|---|---|---|
EPS(원) | 202 | 601 | 392 | 147 | - |
BPS(원) | 5,593 | 5,992 | 6,344 | 6,020 | - |
PER(배) | 131.4 | 25.3 | 29.5 | 60.9 | - |
PBR(배) | 4.9 | 2.7 | 1.9 | 1.5 | - |
ROE(%) | 3.8 | 10.8 | 6.7 | 2.5 | - |
EV/EBITDA(배) | 38.7 | 25.3 | 15.1 | 29.6 | - |
주요 재무제표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E |
---|---|---|---|---|---|
매출액 (십억원) | 1,330 | 1,344 | 1,567 | 1,548 | 1,313 |
영업이익 (십억원) | 161 | 131 | 172 | 10 | -42 |
세전순이익 (십억원) | 62 | 242 | 152 | 49 | -62 |
당기순이익 (십억원) | 63 | 190 | 124 | 46 | -62 |
자산총계 (십억원) | 272 | 298 | 298 | 257 | - |
부채총계 (십억원) | 91 | 106 | 106 | 76 | - |
자본총계 (십억원) | 181 | 192 | 192 | 181 | - |
10. 종합 평가
바이넥스는 생물보안법 수혜와 셀트리온 효과로 가동률 상승이 가시화되며,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특히, 셀트리온과의 협력으로 바이오시밀러 품목의 생산을 맡게 되면서 가동률 상승과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현재 투자의견은 Not Rated로 설정되어 있으며, 목표주가는 30,000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