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리서치 보고서
1. 회사 개요
CJ ENM(035760)은 대한민국의 종합 미디어 및 콘텐츠 기업으로, 방송, 영화, 음악, 커머스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995년에 설립된 CJ ENM은 CJ그룹의 계열사로, 혁신적인 콘텐츠 제작과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왔습니다.
CJ ENM은 콘텐츠 제작, 유통, 커머스에 이르는 폭넓은 사업 영역을 통해 시청자와 소비자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은 미디어 플랫폼, 음악, 영화/드라마, 커머스로 나누어집니다.
2. 사업 부문 및 제품
미디어 플랫폼 부문:
- CJ ENM은 다양한 TV 채널과 OTT 플랫폼을 운영하며, 콘텐츠 유통 및 광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TV 채널로는 tvN, OCN, Mnet 등이 있으며, OTT 플랫폼으로는 티빙(TVING)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특히, 티빙은 CJ ENM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OTT 서비스로, 다양한 드라마, 예능, 영화 등을 제공하며, 국내 OTT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티빙은 웨이브와의 합병을 통해 가입자 수와 콘텐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확대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tvN은 CJ ENM의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채널로,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를 제공하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OCN은 영화와 드라마 전문 채널로, 액션, 스릴러 장르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Mnet은 음악 전문 채널로,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과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팬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음악 부문:
- CJ ENM은 음반 및 음원 제작, 연예 매니지먼트, 콘서트 기획 등을 통해 음악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레이블로는 웨이크원, 라포네, 에이오엠지, 하이어뮤직레코즈 등이 있으며, 다양한 아티스트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 Mnet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된 아티스트들은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KCON, MAMA 등 글로벌 음악 행사를 통해 K-POP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습니다. 특히, MAMA(Mnet Asian Music Awards)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음악 시상식으로, 글로벌 음악 팬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 제로베이스원, 케플러 등의 아티스트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음악 스트리밍, 음반 판매, 콘서트 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영화/드라마 부문:
- CJ ENM은 영화와 드라마 제작 및 배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수한 Fifth Season을 통해 헐리우드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작품을 제작 중입니다. Fifth Season은 팬데믹과 헐리우드 파업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2024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공급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 2024년에는 25편의 작품을 공급하며, OP 284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작품으로는 헐리우드 대작 영화와 글로벌 드라마 시리즈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 국내 영화 시장에서는 <베테랑2> 등 기대작의 개봉이 예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영화 투자/배급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드라마 부문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통해 시청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3. 시장 및 경쟁 환경
CJ ENM은 국내 미디어 및 콘텐츠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경쟁사로는 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등이 있습니다. 미디어 시장은 OTT 서비스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CJ ENM은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과 서비스 품질 향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OTT 시장에서의 경쟁은 콘텐츠의 다양성과 품질, 서비스의 편리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CJ ENM은 티빙을 통해 국내외 OTT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티빙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확대하고, 다양한 제휴를 통해 콘텐츠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음악 시장에서는 K-POP의 글로벌 인기가 지속되면서, CJ ENM의 음악 사업도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특히, Mnet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된 아티스트들은 글로벌 팬덤을 형성하며, 음반 판매, 스트리밍, 콘서트 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영화 및 드라마 시장에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헐리우드 인수 및 제작을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작품을 통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4. 재무 분석
CJ ENM의 최근 5년간의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2022 | 2023 | 2024E | 2025E | 2026E |
---|---|---|---|---|---|
매출액 (십억원) | 4,792 | 4,368 | 4,866 | 5,307 | 5,561 |
영업이익 (십억원) | 137 | -15 | 230 | 304 | 363 |
순이익 (십억원) | -177 | -397 | 94 | 163 | 244 |
EPS (원) | -5,476 | -14,405 | 4,836 | 7,057 | 10,572 |
PER (배) | NA | NA | 18.0 | 12.3 | 8.2 |
PBR (배) | 0.6 | 0.5 | 0.6 | 0.5 | 0.5 |
ROE (%) | -3.3 | -9.3 | 3.2 | 4.5 | 6.4 |
5.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CJ ENM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제시되었으며, 목표주가는 110,000원입니다. 이는 CJ ENM의 실적 개선과 미디어 및 콘텐츠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현재 주가는 87,100원으로, 목표주가 대비 상승 여력은 26.3%입니다.
투자 포인트:
- 티빙-웨이브 합병 효과: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을 통해 가입자 수가 증가하고, 콘텐츠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합병 후 MAU는 1,100만 명으로 예상되며, 최대 2천억 원의 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Fifth Season의 실적 개선: 헐리우드 파업 종료 및 콘텐츠 제작 정상화로 Fifth Season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25편의 작품을 공급하며, OP 284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음악 사업의 성장: Mnet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한 아티스트 발굴 및 글로벌 진출로 음악 사업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제로베이스원, 케플러 등의 아티스트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창출할 것입니다.
- 영화드라마 사업의 반등: 2024년 하반기 개봉 예정인 <베테랑2> 등의 신작 영화와 시리즈물이 흥행할 것으로 예상되며, 영화 투자/배급 실적이 개선될 것입니다.
6. 위험 요소
매출 변동성: CJ ENM은 주요 고객사의 투자 계획과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매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미디어 및 콘텐츠 시장의 성장 속도에 따라 실적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CJ ENM은 주요 고객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며,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기술 변화: 미디어 및 콘텐츠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CJ ENM이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 저하의 위험이 있습니다. 최신 기술 도입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J ENM은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인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CJ ENM의 매출과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요 수출 시장의 경기 침체나 무역 장벽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율 변동과 같은 외부 요인도 CJ ENM의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CJ ENM은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리스크 관리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 결론
CJ ENM은 미디어 및 콘텐츠 분야에서 국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OTT 서비스 확대와 글로벌 콘텐츠 제작을 통해 높은 성장이 기대됩니다. 2024년 매출액은 4,866억 원, 영업이익은 230억 원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는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목표주가는 110,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매출 변동성, 기술 변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CJ ENM은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입니다. CJ ENM은 고품질 콘텐츠와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