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케미칼 기업 분석 보고서
1. 회사 개요
한솔케미칼은 주로 반도체 및 전자재료,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LNG 가격 하락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수익성 개선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16일 기준 목표주가는 270,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2. 재무 정보
한솔케미칼의 최근 재무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매출액 (십억원) | 영업이익 (십억원) | 순이익 (십억원) | EPS (원) | PER (배) | PBR (배) | ROE (%) | EV/EBITDA (배) |
---|---|---|---|---|---|---|---|---|
2022 | 885.5 | 186.0 | 167.0 | 13,685 | 13.6 | 2.75 | 21.4 | 9.8 |
2023 | 771.7 | 124.1 | 108.7 | 9,294 | 24.4 | 3.04 | 13.1 | 15.9 |
2024E | 838.9 | 145.5 | 125.9 | 10,586 | 17.5 | 2.22 | 13.4 | 12.4 |
2025E | 953.8 | 230.1 | 192.7 | 16,204 | 11.4 | 1.92 | 18.0 | 8.5 |
2026E | 1,158.9 | 298.9 | 249.2 | 20,963 | 8.8 | 1.6 | 19.9 | 6.6 |
재무 데이터 그래프
아래는 재무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연간 매출 및 영업이익률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률
3. 시장 분석
한솔케미칼은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LNG 가격 하락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수익성 개선을 통해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영업이익은 342억원으로, 2분기 영업이익은 396억원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회복과 QD 소재의 판매량 개선으로 인해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원재료(LNG) 가격 인하 효과는 지속적으로 반영되어 전사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사 비교
한솔케미칼의 주요 경쟁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경쟁사:
-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
- 삼성SDI: 다양한 배터리 제품을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해외 경쟁사:
- Panasonic: 일본의 배터리 제조업체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 CATL: 중국의 배터리 제조업체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5. 성장 전망
한솔케미칼은 2024년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원재료 가격 하락이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입니다. 2024년 영업이익률은 19%, 2025년에는 24.1%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재료 가격 인하와 삼성전자의 가동률 상승으로 한솔케미칼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6. 리스크 분석
한솔케미칼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리스크: 국내외 경쟁사들과의 가격 및 기술 경쟁이 치열합니다.
- 시장 수요 변동 리스크: 반도체 및 전자재료 시장의 수요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큽니다.
- 환율 변동 리스크: 해외 사업 확대에 따른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한솔케미칼은 지속적인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7. 주요 제품
한솔케미칼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반도체 및 전자재료: 메모리 반도체와 전자재료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및 프리커서
- 정밀화학: 다양한 화학제품을 생산
- 제지 및 환경제품: 제지 및 환경 관련 제품
8. 연혁
한솔케미칼은 1980년에 설립되어 반도체 및 전자재료, 화학제품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980년: 한솔케미칼 설립
- 1990년대: 국내 반도체 및 전자재료 시장 진출
- 2000년대: 글로벌 시장 진출 및 성장
- 2020년대: 지속적인 성장과 기술 혁신
9.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한솔케미칼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06-12: 270,000원 (유지)
현재 한솔케미칼에 대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었으며, 목표주가는 270,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항목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EPS(원) | 13,685 | 9,294 | 10,586 | 16,204 | 20,963 |
PER(배) | 13.6 | 24.4 | 17.5 | 11.4 | 8.8 |
PBR(배) | 2.75 | 3.04 | 2.22 | 1.92 | 1.6 |
ROE(%) | 21.4 | 13.1 | 13.4 | 18.0 | 19.9 |
EV/EBITDA(배) | 9.8 | 15.9 | 12.4 | 8.5 | 6.6 |
DY(%) | 1.1 | 0.9 | 1.1 | 1.4 | 1.7 |
주요 재무제표
구분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
매출액 (십억원) | 885.5 | 771.7 | 838.9 | 953.8 | 1,158.9 |
영업이익 (십억원) | 186.0 | 124.1 | 145.5 | 230.1 | 298.9 |
순이익 (십억원) | 167.0 | 108.7 | 125.9 | 192.7 | 249.2 |
자산총계 (십억원) | 1,253.3 | 1,351.0 | 1,377.5 | 1,459.8 | 1,640.0 |
부채총계 (십억원) | 400.8 | 409.5 | 336.0 | 257.0 | 225.0 |
자본총계 (십억원) | 852.5 | 941.5 | 1,041.5 | 1,202.9 | 1,415.0 |
10. 종합 평가
한솔케미칼은 반도체 및 전자재료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LNG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2024년에는 매출액 838.9억원, 영업이익 145.5억원, 순이익 125.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솔케미칼의 목표주가는 270,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반도체 소재 업종에서의 강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솔케미칼은 주가 상승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