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마이크론 주가 보고서
목차
1. 회사 개요
하나마이크론(한마이크론)은 반도체 후공정 및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메모리, 비메모리 칩 패키징 및 테스트 등이 있습니다. 회사는 2024년 기준 국내 OSAT 중 가장 큰 후공정 Capa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영향으로 인한 HBM 수요 급증과 레거시 DRAM 외주 물량 증가로 실적 수혜가 예상됩니다.
2. 재무 정보
년도 | 매출액 (십억 원) | 영업 이익 (십억 원) | 순이익 (십억 원) | EPS (원) | PER (배) | PBR (배) | EV/EBITDA (배) | ROE (%) |
---|---|---|---|---|---|---|---|---|
2022 | 894.4 | 103.5 | 2.8 | 1,193 | 157.5 | 1.7 | 6.4 | 1.1 |
2023 | 968.0 | 57.9 | (13.5) | 20 | 1,452.0 | 2.6 | 13.8 | (4.7) |
2024F | 1,244.8 | 108.7 | 18.0 | 499 | 60.5 | 2.0 | 6.6 | 5.7 |
2025F | 1,692.7 | 210.5 | 78.1 | 2,038 | 14.8 | 1.7 | 4.5 | 21.6 |
2026F | 2,011.0 | 273.5 | 114.6 | 2,991 | 10.1 | 1.4 | 3.7 | 25.2 |
3. 2024년 실적 전망
2024년 하나마이크론의 예상 매출액은 1.2조 원(+28.6% YoY), 영업이익은 108.7억 원(+87.8% YoY)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반도체 하락 사이클의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VINA 법인의 외주 물량 증가와 HBM Capa 증설에 따른 DRAM Capa Loss로 인한 레거시 DRAM 외주 물량 증가 때문입니다.
4. 2분기 실적 전망
2024년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271.5억 원, 영업이익 16.8억 원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8.9% 증가, 영업이익 8.9% 감소를 의미합니다. 주요 요인은 반도체 하락 사이클의 회복 지연입니다.
5. 하반기 실적 전망
하반기에는 전공정 투자 본격화에 따른 칠러 및 스크러버 수요 증가로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극저온 칠러와 친환경 스크러버의 수요 증가로 중장기 성장 동력이 확보될 전망입니다.
6. 시장 분석
하나마이크론은 국내 OSAT 중 가장 큰 후공정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AI 반도체 영향으로 인한 HBM 수요 급증과 레거시 DRAM 외주 물량 증가로 실적 수혜가 예상됩니다. VINA 법인의 외주 물량 증가와 비메모리 Test 물량 확대가 유효하며,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친환경 스크러버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7. Valuation
하나마이크론의 목표주가는 29,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2024E EPS에 목표배수 17.5배를 적용한 것입니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올해 예상 실적 기준 PER 14.2배, PBR 1.2배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과 중장기 성장 동력을 고려하면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합니다.
8. 성장 전망
하나마이크론은 칠러와 스크러버의 수요 증가와 함께 극저온 칠러와 친환경 스크러버의 중장기 성장 가시성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극저온 칠러는 -80~-70도 수준의 온도 환경을 구현해야 하는 극저온 식각 공정에 필수적인 장비로, 2025년 하반기부터 판가와 공급 물량이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9. 리스크 분석
주요 리스크로는 반도체 업황의 변동성, 기술적 변화,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0. 주요 제품
하나마이크론의 주요 제품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스크러버와 칠러입니다. 스크러버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장치이며, 칠러는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두 제품 모두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장비로,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11. 연혁
하나마이크론은 1991년 설립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장비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991: 하나마이크론 설립
- 2019: 일본 수출규제 이후 국산화 기조에 따른 시장점유율 확대
- 2024: 극저온 칠러와 친환경 스크러버 수요 증가
12. 목표주가 및 투자 지표
목표주가는 32,000원이며, 주요 투자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 | 2024F | 2025F |
---|---|---|
PER | 60.5 | 14.8 |
PBR | 2.0 | 1.7 |
ROE | 5.7% | 21.6% |
13. 종합 평가 및 주가 전망
하나마이크론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장비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극저온 칠러와 친환경 스크러버의 수요 증가로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목표주가는 32,000원으로 설정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2024F 기준 PER 60.5배, PBR 2.0배 수준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과 중장기 성장 가시성을 고려하면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